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학교체육의 연구 동향 및 방향 탐색
이용수 487
- 영문명
- Trend analysis and direction exploration of school sports research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정동수(Jeong, Dong-Soo) 김방출(Kim, Bang-Chool)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8권 제2호, 53~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학교체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의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이를 위해 논문 주제어(가상현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ICT+체육)를 중심으로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속한 연구 중 연구 제목, 초록, 내용의 검토를 바탕으로 총 39 편의 국내 연구를 선별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분석은 주제 확인, 영역 분석, 유목화, 체계화·타당화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체육수업 적용에 관한 연구',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학교체육의 변화에 관한 연구' 등의 세 가지로 범주화되었다. 그리고 세 범주들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지닌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체육수업 적용에 관한 연구'에서 새로운 기술들은 체육수업 한계 극복의 매개로서, 체육수업의 보완재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높은 현장연구 비율을 보여주고 있었다. '4 차 산업혁명 기술의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심동적·정의적인 부분에 대부분 초점을 맞추고 있었고, 집단 내의 협동과 협력보다는 개인의 수행에 집중하고 있었으며, 가상현실 연구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학교체육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체육교육 방법, 교사의 역할, 체육교육과정에서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범주화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의 연구 방향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이 요구된다. 둘째, 다양한 영역을 균형 있게 주목하는 통합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여러 기술을 융, 복합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향후의 학교체육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o analyze the trends in school sports research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to explore future research directions based on this. For the purpos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his study focuses on the main keywords of the thesis (virtual reality,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big data, ICT + sports), among the studies belonging to the Korean Journal of Citation Index (KCI), of the research title, abstract, and content. Based on the review, a total of 39 domestic studies were selected for content analysis. Content analysis was done through the process of topic identification, domain analysis, nomadicization, and systematization and valid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ree categories such as 'Study on the application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to physical education classes', 'research verifying the effect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study on changes in school sports' categorized into And the three categorie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new technologies are playing a role as a mediu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as a complement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showing a high rate of field research. The 'research that verified the effe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ocused mostly on the emotional and affective parts, focused on individual performance rather than cooperation and cooperation within the group, and showed a high proportion of virtual reality research. The 'Study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nd Change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changes in the physical education method, the role of teachers, and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categorization results, the following four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First, it is required to improve access to technology. Second,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study focusing on various areas in a balanced way.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technologies in a fusion and complex manner. Fourth, it is necessary to seek a response plan for future changes in school spor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에 관한 체계적 문헌분석
-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학교체육의 연구 동향 및 방향 탐색
- 다용도보조매트 개발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경쟁불안과 동작도전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체육전담교사와 학생 간 갈등의 유형 및 배경 드러내기
- 초등학생의 스포츠 공격성에 대한 인식 분석
- 코로나-19를 겪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 현실과 발전적 운영방안
- 2015 개정 초등 체육과 도전영역 교사용 지도서 내용분석
- 코로나 시대 초등학교 표현 영역 수업 현황 탐색
- 초등학생을 위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의 타당화
- 초등 교사교육자가 주목한 체육교육과정 강좌 평가 내용에 관한 셀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