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에 관한 체계적 문헌분석
이용수 135
- 영문명
-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천종문(Cheon, Jong-Mun) 홍덕기(Hong, Deock-Ki)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8권 제2호, 87~10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8년 초등 스포츠강사 제도가 도입된 이후, 왜 지금까지 초등체육 현장에서 뜨거운 이슈로 남아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스포츠강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과정, 초등 스포츠강사와 관계자들의 상반된 시각, 초등 스포츠강사제도 개선에 대한 다양한 목소리 등을 탐색하여 초등체육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스포츠강사제도’ 와 관련된 선행연구 중 최종 15편을 체계적 문헌분석방법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첫째, ‘실태: 처우 개선 현황’은 ‘낮은 급여체계의 개선’과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으로 나타났다. 둘째, ‘쟁점: 초등 스포츠강사와 초등(예비) 교사 간 갈등’은 ‘초등 체육수업권 문제’, ‘초등체육 전문성 문제’, ‘무기계약직 전환 문제’로 나타났다. 셋째, ‘대안: 초등체육 활성화를 위한 과제’는 ‘초등체육 문제의 명확한 진단’, ‘양질의 체육수업을 위한 지원방안 마련’, ‘초등체육전담교사 확보 및 스포츠강사 역할 재정립’으로 나타났다. 제언은 첫째,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상호 보완, 둘째, 문서적 수준과 실천적 수준의 병행, 셋째, 예비교사의 체육수업 전문성 확보를 위한 노력 등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why the elementary sports instructor system has remained a hot issue in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since 200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rocess of the elementary sports instructor system, conflicting views of elementary sports instructo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various voices on the improvement of the elementary sports instructor system. To this end, the total 15 of the literatures regarding the 'Elementary Sports Instructor System' was analyzed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actual conditions: improvement of treatment' was found to be 'improvement of low salary system' and 'improvement of poor working environment'. Second, 'the issues: conflicts between elementary sports instructors and elementary (preliminary) teachers' was found to be 'the right to teach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professionalism to teach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and 'the problem of switching to indefinite contract jobs of elementary sports instructors '. Third, 'the alternative: Tasks for revitalizing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was found to be 'a clear diagnosi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problems', 'securing teachers in charg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redefining the role of elementary sports instruc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에 관한 체계적 문헌분석
-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학교체육의 연구 동향 및 방향 탐색
- 다용도보조매트 개발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경쟁불안과 동작도전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체육전담교사와 학생 간 갈등의 유형 및 배경 드러내기
- 초등학생의 스포츠 공격성에 대한 인식 분석
- 코로나-19를 겪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 현실과 발전적 운영방안
- 2015 개정 초등 체육과 도전영역 교사용 지도서 내용분석
- 코로나 시대 초등학교 표현 영역 수업 현황 탐색
- 초등학생을 위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의 타당화
- 초등 교사교육자가 주목한 체육교육과정 강좌 평가 내용에 관한 셀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