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용도보조매트 개발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경쟁불안과 동작도전 수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3
- 영문명
- Effect of development of multi-purpose auxiliary mat on competition anxiety and movement challenge classes of pre-primary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정성우(Jung, Sung-Woo) 오준석(Oh, Joon-Seok)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8권 제2호, 71~8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용도보조매트 개발이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경쟁불안과 동작도전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B교육대학교 1학년 59명을 대상으로 2021. 9.1.(수) ~ 12.14.(화)까지 체육실기 수업에 참여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다용도보조매트가 예비교사들의 경쟁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artens, Vealey & Burton(1990)이 개발한 스포츠 경쟁불안 검사지2(CSAI-2)와 학생소감문, 심층면담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양적분석과 질적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양적 분석방법으로 다용도보조매트가 예비교사의 경쟁불안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versio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질적 분석방법으로는 학생소감문, 심층면담을 활용하여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개발된 다용도보조매트는 동작도전 수업의 인지불안을 해소하고 예비교사들의 자신감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작도전 수업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지도방법의 개선과 단원에 맞는 교수·학습자료 개발 그리고 동작도전 수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는 동작도전 수업의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of a multi-purpose auxiliary mat on competition anxiety and movement challeng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from September 1, 2021 (Wednesday) to December 14 (Tuesday), targeting 59 first-year students at University of Education B.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multi-purpose auxiliary mat on competition anxiety of preservice teachers, the Sports Competition Anxiety Test Paper 2 (CSAI-2) developed by Martens, Vealey & Burton (1990), student testimonials, in-depth interviews, and expert reviews were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were used. As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a paired-sample t-test was used using the SPSS version 26.0 statistical program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multi-purpose auxiliary mat on competition anxiety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s α=.05. A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using student testimonials, in-depth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 journals. The developed multi-purpose auxiliary mat was found to relieve cognitive anxiety in the motion challenge class and to gradually improve the confidence of pre-service teachers.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movement challenge class will lead to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methods of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unit, and positiv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movement challenge class, which will lead to the activation of the movement challenge cla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제도에 관한 체계적 문헌분석
- 4차 산업혁명 기술과 학교체육의 연구 동향 및 방향 탐색
- 다용도보조매트 개발이 초등예비교사들의 경쟁불안과 동작도전 수업에 미치는 영향
- 체육전담교사와 학생 간 갈등의 유형 및 배경 드러내기
- 초등학생의 스포츠 공격성에 대한 인식 분석
- 코로나-19를 겪는 과정에서 초등학교 배구부 운영 현실과 발전적 운영방안
- 2015 개정 초등 체육과 도전영역 교사용 지도서 내용분석
- 코로나 시대 초등학교 표현 영역 수업 현황 탐색
- 초등학생을 위한 신체적 자기효능감척도의 타당화
- 초등 교사교육자가 주목한 체육교육과정 강좌 평가 내용에 관한 셀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GKS 유학생의 교우관계와 교차성: 한국어 연수과정과 학위과정의 교우관계 형성 및 변화에 대한 질적 분석
- 미국 주 단위 학업성취도 평가 사례를 통한 국내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제언
- 국가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교사 참여’ 양상 탐색: 핀란드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