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후변화 교육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322
- 영문명
- Development of Programs to Support Climate Change School Education: Focusing on 3rd to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소이(Kim, So Yi) 이성희(Lee, Sung Hee) 신동훈(Shin, Dong Hoon)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2권 제2호, 139~15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후변화 학교 교육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상청 자료를 토대로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4 학년군, 5·6 학년군을 대상으로 15차시 분량의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현상-원인-영향-대응 4단계로 이루어졌으며, 학년군별 학생용 도서와 교사용 도서로 제작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검사 결과’, ‘기후변화 대응교육에 대한 학생 만족도 결과’, ‘프로그램 운영 보고서’를 통해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검증 결과로 첫째, 개발된 기후변화 학교 교육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켰다. 둘째, 대다수의 학생들이 개발된 기후변화 학교 교육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하여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기후변화 학교 교육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한 교사들의 보고서를 분석하여, 프로그램 운영 후 교사의 기후변화 및 관련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시각이 확대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첫째,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상, 원인, 영향을 이해하고 대응전략을 수립하여 실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후변화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기후변화 교육이 학교 교육과정 및 생활 속에서 지속적이고 내실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기간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sed to design an education program on climate change based on data obtain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is program was intended to support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he study also aim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Hence, 15-hour interventions were created for two grade groups of elementary school: three and four and five and six. Further, books were produced for the students and teachers for each grade group. The program comprised four stages: phenomenon, cause, effect, and respons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corroborated through the Results of Awareness and Attitude Test on Climate Change, Student Satisfaction Results for Climate Change Response Education, and Program Operation Report. This verification process revealed several outcomes. First, the developed support elementary school program on climate change altered and enhanced the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all categories of students. Second, most students responded very satisfactorily to the program. Third, the scrutiny of reports by the teachers who delivered the school education support program on climate change affirmed that the teachers expanded their interest and perspectives on climate change and related education. The study results allow the recommendation to conduct climate change education in schools, inclu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on, its causes, and its effects based on varied data, and to establish and implement response strategies. Second, a long-term systematic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delivered so that climate change education can be continuously and substantively implemented in school curricula as well as in daily li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