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D 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이 초등학생의 에너지 소양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4
- 영문명
- The Effect of Energy Education using 3D Printing on Elementary Students’ Energy Literac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일훈(Choi, Il-hoon) 소금현(So, Keumhyun)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2권 제2호, 73~8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3D프린팅 활용 에너지교육을 적용하고 에너지 소양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에너지 소양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D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은 초등학생들의 에너지 소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3D 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은 초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3D 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에 초등학생들은 많은 관심 및 높은 흥미도를 보였고, 기존 수업과 비교하여 높은 수업 만족감을 표시하였다. 학생들은 3D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을 통해 통합적,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 중심의 학습을 수행하며 해결 계획을 수립하는 것부터 3D 모델링, 출력, 수정 및 공유 등의 활동을 하며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다. 이와 같이 3D 프린팅을 활용한 에너지교육은 초등학생의 에너지 소양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energy education using 3D printing was employed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on their energy liter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was investigated.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28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s of energy liter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nergy education using 3D prin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ergy literacy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ird, the students showed considerable interest in energy education using 3D printing, and they exhibited high class satisfaction compared to existing classes. Th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se classes, conducting integrated, self-directed, problem-solving-oriented learning through energy education using 3D printing, establishing a solution plan, and participating in activities such as 3D modeling, output, modification, and sharing. In this way, energy education using 3D printing appear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ergy literac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