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 현황 파악 및 비교 분석

이용수  189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n ECEC Teachers’ Understanding, Perceptions, and Pract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발행기관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저자명
강재은(Kang, Jae Eun) 손화정(Son, Hwa Jung)
간행물 정보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2권 제2호, 99~114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이하 SDGs)에 대한 영유아교사의 이해와 인식, 실천에 대해 알아보고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해보았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 100명, 어린이집 교사 104명 총 204명으로 구글 설문과 종이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DGs에 대한 이해를 조사한 결과 ‘건강하고 안전한 물관리’, ‘질적인 교육’ 등에서 높은 이해수준을 보였으며, ‘빈곤 종식’, ‘불평등 감소’ 목표에 대해서는 낮은 이해수준을 보였다. 영유아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SDGs의 이해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17개 목표 중 8개의 목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SDGs 인식은 전체 평균 4.22점으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SDGs 인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영유아교사의 SDGs에 대한 실천은 전체 평균 3.90점으로 인식 점수보다 실천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근무기관 유형에 따른 SDGs 실천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SDGs 목표 ‘1. 빈곤층 감소와 사회안전망 강화’를 제외하고는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은 SDGs 실천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교사의 SDGs의 인식과 실천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높은 인식에 비하여 실천 의지는 그에 비해 낮은 점수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영유아교사의 SDGs의 인식과 실천 사이의 격차를 줄이려는 노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teacher understanding, perception, and practi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and how differing work environments can influence their degree of realiz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Google and paper surveys of 104 child-care center teachers and 100 kindergarten teachers (N = 204). Results indicated that a higher understanding and awareness level was evident concerning “clean water and sanitation” and “quality education,” compared to lower levels of awareness concerning the topics of “zero hunger” and “reduced inequality.” Comparisons of results among types of workplac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8 of 17 SDGs. The overall average of ECEC teacher perceptions of SDGs was generally high, with an average score of 4.22. However, the resul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regarding the degree of SDGs perception as a function of workplace setting. Overall, the practice of SDGs scored lower than perception of SDGs, with an average tally of 3.9. Differences in SDGs practices among workplaces exhibited various differences, with kindergarten teachers showing a higher practice rate for all SDGs (except “no poverty”) compared to child-care center teachers. In summar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CEC teacher practices and perceptions have been observed to a rather significant degree across various early-education environments and facilities. Overall, this study indicated a relatively low practice rate of SDGs compared with markedly higher levels, which exist for SDG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Efforts and initiatives should be deployed in an attempt to decrease this disparity to promote a higher degree of SDGs-practice across the early-education commun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재은(Kang, Jae Eun),손화정(Son, Hwa Jung). (2022).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 현황 파악 및 비교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2 (2), 99-114

MLA

강재은(Kang, Jae Eun),손화정(Son, Hwa Jung).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한 영유아 교사의 이해, 인식, 실천 현황 파악 및 비교 분석." 에너지기후변화교육, 12.2(2022): 99-1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