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론 기사에 나타난 황사와 미세먼지 관련 키워드 및 토픽 분석
이용수 130
- 영문명
- Analysis of Key Words and Topics related to Yellow Dust and Fine Dust in the Media Articles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임정민(Lim, Jeong-min) 여상인(Yeo, Sang-Ihn)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2권 제2호, 115~12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언론 기사에 나타난 미세먼지와 관련된 핵심 키워드와 핵심 토픽을 분석하였다. 대중성, 보급률 및 구독률이 높은 3개 신문사의 기사를 대상으로 NetMiner 4.4.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키워드 및 토픽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세먼지와 관련된 문서 수는 2012년까지는 큰 변화가 없다가 2013년부터 크게 증가하였고, 코로나 19 이후에는 다시 크게 감소하였다. 둘째, 미세먼지와 관련된 최다 빈도 키워드와 핵심 키워드는 주로 ‘서울’, ‘황사’ 등이었지만, 2013년 이후 ‘중국’이라는 키워드가 상위 키워드로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토픽 모델링으로 분류된 8개 토픽을 살펴보면, 2012년 이전과 2013년 이후의 주요 관심 토픽이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토픽 시각화 분석에서 주요 키워드의 수가 가장 많은 토픽은 ‘미세먼지 적응대책-미세먼지 및 날씨 예보’였으며, ‘한국’과 ‘대기환경’ 키워드는 다중 연결 키워드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key words and key topics related to fine dust in media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20. In this study, press articles from three highly popular newspapers, with high daily circulation and subscription rates were selected for key word and topics analysis using the NetMiner 4.4.3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documents related to fine dust did not change substantially until 2012. However, it increased remarkably from 2013, and subsequently decreased after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Second, the most frequent key words related to fine dust were “Seoul” and “yellow dust.” However, since 2013, “China” has been the top key word. Third, in the topics extracted by topic modeling, we observed that the main topics of interest before 2012 and after 2013 were different. Lastly, during the topic visualization analysis, the topic with the greatest number of major key words was “fine dust adaptation plan-fine dust and weather forecast,” and the key words “Korea” and “air environment” appeared as multiple connected key wor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및 내용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