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등학생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분석
이용수 207
- 영문명
- Analysis of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 발행기관
-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봉우(Lee, Bongwoo) 이세연(Lee, Seyeon) 조헌국(Jho, Hunkoog)
- 간행물 정보
- 『에너지기후변화교육』제12권 제2호, 153~16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학교급별, 성별에 따른 차이와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이에 따라 총 604명의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른 학교급에 비해 초등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가장 높았으며 대응 행동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중학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의 경우, 여학생들이 남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높았지만 중학교 및 고등학교급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으로 과학에 대한 선호도, 과학에 대한 자신감 등 대부분의 요인이 관련이 있었으나 특히 과학 영상 시청 경험이 다양한 요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based on the school level and sex and study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Therefore, 604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relevant to climate change.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primary students were more aware of climate change in the overall aspects of climate change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demonstrated least awareness. Female students tended to be more sensitive and aware of climate change rather than male students. However, there were no substantial differenc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levels.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climate change, any aspects had a considerable relationship with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climate change. Among them, the experience of watching science video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different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According to the findings, this research gave several implications for education to improve students’ abilities to endure climate chang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과정 및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