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암 환자 대상 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777
- 영문명
- An Analysis of Trends in Art Therapy Studies on Cancer Patient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모소현(Mo So-Hyun) 정여주(Chung Yeo-Ju)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8권 제4호, 883~9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9년 1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 게재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의 암 환자 대상 미술치료 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는 여성, 일반 성인, 유방암 환자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방법별 분류에서는 질적 연구, 사례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내용에서 개인미술치료의 구조, 병원 환경이 가장 많았으며, 총 치료회기는 개인 형태의 11-20회기, 주당 치료횟수는 개인과 집단 형태에서 주 1회, 60분 이상 100분 이하, 연구주제에서는 자아성장 및 자기개념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결과를 보였다. 넷째, 미술치료 표현기법의 분석 결과 그리기가 42.7%로 가장 많이 실행되었다. 매체별 사용빈도는 도화지 169회(50%), 사인펜 159회(30.9%), 수채물감이 61회(70%), 공산품이 98회(50.7%), 점토가 37회(44.0%)로 사용되었다. 위의 결과와 더불어 남성 성별, 만들기와 콜라주 표현기법, 섬유바탕재, 파스텔은 최근 5년 새 점차 사용빈도가 증가하였으며 공산품과 점토는 사용빈도가 증가하는 양상과 더불어 각 분류 내 가장 많은 사용량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구성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와 사용매체의 빈도 및 변이하는 추세를 살펴 미술치료 임상현장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in art therapy papers for cancer patient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in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ystem and service(RISS) from 2002 to January 2019. First, results showed that most participants were females, adults, and breast cancer patients. Second, qualitative and case studies were most common in the research method classification. Third, in the research content, the structure of personal art therapy and the hospital environment were most common, the total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was mostly between 11 and 20 sessions in individual and group forms, the number of treatments per week was most commonly once a week with 60 to 10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research topics that appeared most often were self-growth and self-concept. Fourth, regarding the analysis of art therapy expression techniques, drawing was the most common with 42.7%. In the frequency of use by media, drawing paper was used 169 times(50%), marker was used 159 times(30.9%), watercolors 61 times(70%), industrial products 98 times(50.7%), and clay 37 times(44%). In addition to the above results,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male gender has been studied increasingly often. Art-making collages, fiber-based materials, and pastels have gradually increased in use for the past five years, with industrial products and clay showing the highest usage in each categor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at clinical sites by looking at the basic data for the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the frequency of sessions, and the variety of media u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