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색채선호 경향과 색채선호에 따른 정서지능, 창의성의 차이 연구
이용수 570
- 영문명
- Young Children’s Color Preference and its Relationship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수진(Lee, Su Jin) 박정희(Park, Jeong Hee)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8권 제4호, 927~9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색채선호 경향을 알아보고 유아의 선호색채와 유아의 정서지능, 창의성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남아 431명, 여아 397명 총 82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색채선호 조사도구는 Howard와 Dorothy Sun(2003)이 CRR(Color Reflection Reading)에서 사용한 8색을 사용하고. 문용린(1997의 유아용 정서지능 검사와 노영희, 김경철, 김호(2006)의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아는 50%가 마젠타를, 남아는 빨강과 파랑을 선호하였고 유아는 한색보다는 난색을 더 선호하였다. 둘째, 마젠타를 선호하는 유아가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표현성 점수가 가장 높았고, 청록을 선호하는 유아의 정서표현성이 가장 낮았다. 또한 빨강을 선호하는 남아가 정서인식 점수가 가장 높았고 초록을 선호하는 남아의 정서인식 점수가 가장 낮았다. 난색을 선호하는 유아가 정서지능 전체와 하위요인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에서 한색을 선호하는 유아보다 더 점수가 높았다. 남아의 경우는 난색선호 유아가 한색선호 유아보다 정서인식 점수가 높았다. 셋째, 유아의 선호색채와 창의성 전체와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탈규범성에서 빨강을 선호하는 유아가 탈규범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선호색채를 통해 유아를 이해하고, 색채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정서성과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lor preference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relationship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31 boys and 397 girls. To analyze the data, CRR (Color Reflection Reading) by Howard and Dorothy Sun (2003) was used for color preferences, the Infant’s Eemotional Intelligence test produced by Moon Yong-rin (1997) and the Teacher s Creativ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TCRSYC) by Noh Young-hee, Kim Kyung-chul, and Kim Ho (2006) were used as research scales. This study found that young children preferred magenta, red, and blue. 50 percent of girls preferred magenta most and boys preferred red and blue. Young children preferred warm colors to cold colors. Young children who preferred magenta had the highest emotional expression scores, while young children who preferred turquoise had the lowest. Young boys preferred red showed the highest scores of emotional awareness, and young children who preferred green had the lowest. Young children who preferred warm colors had higher scores of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y. Boys who preferred red had the highest scores of de-normalization, one of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e can understand children through their color preferences and that we can help to enhance emotionality and creativity through color expression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