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활용한 농인(聾人) 성인여성의 미술치료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437

영문명
A Narrative Inquiry of a Deaf Woman s Experience in Art Therapy Using the Response Art of the Art Therapist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백숙희(Baek, Suk-Hee) 김갑숙(Kim, Gab-sook)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8권 제4호, 987~101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농인 성인 여성이 미술치료 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이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3세 때, 의료사고로 청력을 상실하였고 6세 때 청각장애 2급 판정을 받은 30대 농인 여성이다. 미술치료는 2020년 3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총 10회기의 미술치료를 주2회, 회기 당 120분씩 실시하였다. 회기 중의 수어와 필담을 그대로 전사한 축어록의 내용이 참여자의 경험과 일치하는지 수시로 메시지나 만남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탐구 자료를 활용하여 농인 성인여성의 삶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서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농인 성인여성의 삶에서 장애로 인해 차별과 편견을 겪었지만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힘을 찾아 당당하게 청인사회로 나아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반응작업은 미술치료 현장에서 내담자에게는 소통과 공감의 의미로, 치료사에게는 자기이해와 성장의 표현방법으로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a deaf woman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what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 are, and what meanings the art therapist s response art has for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The participant was a 30-year-old hearing-impaired woman. She suffered hearing impairment caused by medical malpractice at the age of 3, and her degree of hearing loss was rated as Grade 2 hearing disability at the age of 6. Art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120 minutes per session from March 2020 to April 2020 and a total of 10 art therapy sessions were performed. Researchers frequently checked through messages or meetings whether the contents of the verbatim transcripts of the communication through sign language and handwritten notes during art therapy sessions matche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 Using these data, the life experiences of the deaf woman were described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In conclusion, this narrative inquiry showed that a woman with hearing impairment who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due to her disability over the course of her life discovered her inner strength through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and moved forward in integration with the society of hearing people.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sponse ar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for the client and as an effective method for expressing self-understanding and growth for the therapist in the field of art therap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농인 성인여성의 미술치료경험 이야기
Ⅳ. 미술치료경험의 의미
Ⅴ. 함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숙희(Baek, Suk-Hee),김갑숙(Kim, Gab-sook). (2021).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활용한 농인(聾人) 성인여성의 미술치료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28 (4), 987-1014

MLA

백숙희(Baek, Suk-Hee),김갑숙(Kim, Gab-sook). "미술치료사의 반응작업을 활용한 농인(聾人) 성인여성의 미술치료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28.4(2021): 987-10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