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폭력 피해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607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of a Sexual Violence Victim s Art Therapy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허미정(Huh, Mi Jung) 최선남(Choi, Sun Nam)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8권 제4호, 1015~10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여성이 미술치료 과정에서 경험한 것이 무엇이며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는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으로 2019년 9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주 1회, 약 50분씩 비구조화된 미술치료 방식으로 총 52회기 개인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동의서를 받고 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매회기 녹취, 관찰일지, 미술 작품, 연구자와 참여자의 저널, 면접지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미술 작품과 면담자료는 내러티브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성폭력 피해 여성은 ‘악은 일반적일 수 없어요’, ‘내 몸에 남은 역겨운 증거’, ‘팔․다리는 의미 없는 소모품’, ‘그날 나의 영혼은 죽었다’, ‘그림이 저를 살려요’의 5개 경험 이야기를 발견하였다. 그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제 도망가지 않겠다.’ 둘째, ‘그림으로 희망을 말하다.’로 성폭력 피해 여성에게 미술치료 경험은 자신의 상처와 만나고 상처를 창의적 미술 작품으로 표현하는 역할을 하였고, 이는 자신과 타인, 나아가 세상을 향해 성폭력에 대한 경각심과 예방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what a female sexual violence survivor experiences during art therapy and what those experiences mean. The study participant was a female adult who took part in unstructured art therapy once a week for nearly 50 minutes per session, a total of 52 times from September 2019 to October 2020.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ritten consent form was received before executing and recording the art therapy sessions; the observation log, artwork, the journal between researcher and participant, and the interview log were collected at each therapy session. This research narratively analyzed collected pictures and interviews. During that process, the rape victim discovered five experiential stories: “evil cannot become generalized.” “disgusting evidence left on my body.” “my arms and legs are useless tools.” “that day, my soul was murdered:,” and “painting brings me back from death every day.” The meanings of those stories were twofold for the participant; First, “I will not run away anymore,” and second, “I speak hope through paintings.” This research presented an art therapy experience that provided the sexual violence victim with an opportunity to confront her wounds and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her ability to express her pain from trauma through her original artworks. The results illustrate that such art therapy is a valuable achievement in not only enhancing the ability to express trauma for the participant but also in focusing the world’s attention on sexual assault an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proper prevention to prevent such assa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경험 이야기
Ⅳ. 경험의 의미
Ⅴ. 함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