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인가 대안학교가 경험하는 갈등과 난제
이용수 599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Conflicts and Problems that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Experience as Struggling for Legitimate Institutional Statu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박영주(Park, Young-ju) 조진한(Cho, Jin-han) 조영하(Cho, Young Ha)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28권 제1호, 97~11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안교육이 우리 교육현장에 등장한 지 20년이 지났지만, 비인가 대안학교의 합법적 존립의 문제는 여전히 유효하다. 이 연구는 비인가 대안학교 구성원들이 인가 관련 현행 법제도에 저항하면서 합법적 교육기관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하려는 투쟁의 과정에서 경험하는 갈등과 난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경기도 A시 소재 비인가 대안학교 및 지역협의체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에 의한 질적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비인가 대안학교 구성원들은 저항의 과정에서 1) 법제적 이해충돌, 2) 실재(實在)의 학교, 3) 다양성의 가치지향, 4) 생존을 위한 차선의 길이라는 주제로 대변되는 갈등과 난제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그 저변에는 대안교육의 본질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적극적인 투쟁과, 재정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소극적인 투쟁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들의 저항과 투쟁은 비인가 대안학교의 생존이라는 궁극적인 목표로 수렴된다. 연구자는 분석결과가 내포한 맥락을 짚어보고, 그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s the problem solved? It is the research question that this study posed in order to delve into the conflicts and problems that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have faced for almost 20 years in a road to seeking for legitimate institutional status in Korean school education system. This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to ‘how’ and ‘why’ these schools have resisted the current law that defines how to become institutionally approved and what they have struggled for. This study qualitatively examined the cases of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located in A city of Gyeonggi-do province as conducting in-dept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is study was able to categorize the conflicts and problems that these schools have experienced into the following four themes: 1) interest conflicts in the legal respect; 2) existence in reality; 3) pursuit of diversity in Korean schools; 4) having a contingency plan. The study then discussed how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implications on unaccredited alternative schools that still continue to find ways to surviv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평화통일교육정책의 형성과정 분석
- ‘온종일 돌봄 정책’의 의제설정과정 분석
- 권리기반정책 및 실천에 근거한 학생인권 정책 방향 모색
-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과정에서 나타난 패러독스(Paradox) 현상분석
- ‘적응적 집행’으로서의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준비
- 옹호연합모형에 의한 자율형 사립고 정책변동 분석
- 자유학기(학년)제 발전방향에 관한 전문가 인식 분석
- 한국교육 정책문제와 진보교육진영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의 연관성 분석
- 비인가 대안학교가 경험하는 갈등과 난제
-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가설 분석과 기초학력 향상 방안
- 충북 지역의 학업중단숙려제 정책 집행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