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적응적 집행’으로서의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준비
이용수 402
- 영문명
- Preparation of the Free Semester Program as an ‘Adaptive Implementation’: an Analysis of Micro-implementation Process of Educational Policy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치학회
- 저자명
- 양희준(Yang, Heejoon)
- 간행물 정보
- 『교육정치학연구』제28권 제1호, 241~26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정책의 집행에 관한 이론 중 Berman의 ‘적응’ 개념을 활용하여 일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에 주로 활용한 자료는 A중학교에서 생산된 자유학기제 관련 자료들과 자유학기제 업무에 관련된 교사들을 면담한 자료이다. 분석 결과, A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는 상급 기관에서 제시한 지침을 준수하여 준비되었다. 그러나 자유학기제 정책에서 강조된 ‘학생중심’ 프로그램의 개발은 A중학교에서 충실히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프로그램의 준비과정에서 실제로 중요하게 다루어진 것은 업무량의 공평한 배분이나 교사의 편의 등과 같은 기존의 관행들이었다. 이러한 정책 집행의 과정은 Berman이 말한 바, 정책의 현장에 대한 적응은 없이, 집행 기관의 일상적 관행만 정책에 적응하는 ‘기술적 학습(technological learning)’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자유학기제 정책이 일선 학교현장에서 상징적인 수준에서(symbolically) 집행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자유학기제 정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일선 학교의 관행만 변화하는 것이 아니라, 정책도 학교의 조건과 맥락에 맞추어 변화하는, 정책과 집행 현장의‘상호 적응’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preparing Free Semester Programs in front-line middle schools using Berman s concept of “adaptation.”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are text data produced in middle school A and interviews with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ree Semester Program at middle school A was prepar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suggested by higher-level institutions.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centered” program emphasized in the Free Semester Program policy was not faithfully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A. What was really important in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program was the existing practices such as the fair distribution of workload and the convenience of teachers. This process of policy implementation, Berman said, can be viewed as a process of “technological learning,” in which only the daily practices of the implementation agency adapt to the policy without policy’s adapting to the policy field. This shows that the Free Semester Program policy is being implemented symbolically in front-line schools. In order for the Free Semester Program policy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s in the future, it seems necessary to change the policy according to the school field. This would be going forward to the ‘mutual adap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Ⅳ. A중학교의 자유학기제 정책 집행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평화통일교육정책의 형성과정 분석
- ‘온종일 돌봄 정책’의 의제설정과정 분석
- 권리기반정책 및 실천에 근거한 학생인권 정책 방향 모색
- 대학등록금 정책변동 과정에서 나타난 패러독스(Paradox) 현상분석
- ‘적응적 집행’으로서의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준비
- 옹호연합모형에 의한 자율형 사립고 정책변동 분석
- 자유학기(학년)제 발전방향에 관한 전문가 인식 분석
- 한국교육 정책문제와 진보교육진영 교육개혁 정책패러다임의 연관성 분석
- 비인가 대안학교가 경험하는 갈등과 난제
- 기초학력 저하 원인에 대한 가설 분석과 기초학력 향상 방안
- 충북 지역의 학업중단숙려제 정책 집행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