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옹호연합모형에 의한 자율형 사립고 정책변동 분석

이용수  787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Changes in the Policy of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by the Advocacy Coalition Model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이영신(Lee, Young Sin)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28권 제1호, 207~23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하여 자율형 사립고 정책변동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외적변수로 상대적으로 안정된 변수에는 고교서열화 및 입시경쟁의 심화, 교육을 통한 계층 사다리 또는 사회경제적 지위의 대물림의 수단, 신자유주의 이후 공공성 회복,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등이 있다. 외적 체제 사건은 사교육비 증가와 여론 조사, 정권 교체와 다수의 진보교육감 당선 등의 영향을 받고 있다. 교육의 공공성, 공교육 정상화를 주장하는 대통령, 교육부 장관, 진보교육감을 중심으로 한 자사고 폐지 찬성 연합과 교육의 수월성, 다양성, 자율성을 주장하는 자사고교장·학부모 연합회를 중심으로 자사고 폐지 반대 연합 간의 갈등이 나타났다. 각 옹호연합은 활용 가능한 자원과 전략을 바탕으로 정책입장을 주장하였고, 정책 학습인 토론회는 각 옹호연합의 신념을 공고히 하는데 활용되었다. 정책변동 과정에서 일어난 정책 산출은 자사고의 일반고 일괄 전환과「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의 제·개정으로 구체화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policy change i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by applying Sabatier s advocacy coali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variables that are relatively stable as external variables include the deterioration of high school order and intensification of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the means of class ladder or succession through education, recovery of publicity after neoliberalism, an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external system case has been affected by an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s, public opinion polls, regime change, and the election of a number of progressive superintendents. Conflict between the coalition against the abolition of private high schools centered on the association for the abolition of private high schools centered on the publicity of education and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the president, the minister of education, and the progressiv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the association of principals and parents of own high schools that insist on excellence, diversity and autonomy appear. Each advocacy coalition argued for a policy position based on available resources and strategies, and a discussion meeting, a policy learning session, was used to solidify the conviction of each advocacy coalition. The policy calculation that occurred in the course of policy change was embodied by the collective conversion of private high schools to general high schools and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분석틀
Ⅳ.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신(Lee, Young Sin). (2021).옹호연합모형에 의한 자율형 사립고 정책변동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8 (1), 207-239

MLA

이영신(Lee, Young Sin). "옹호연합모형에 의한 자율형 사립고 정책변동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8.1(2021): 207-2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