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물자원ㆍ조경영역의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방안
이용수 24
- 영문명
- A Plan for Setting Questions of Examination for Appointing Plant Resources & Landscaping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정성봉(Sung-bong Chung) 강대구(Dae-gu-Kang) 나승일(Seung-Il Na) 이근수(Keun-soo Lee) 황병태(Byung-tae Hwang) 최지연(Ji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8권 제3호, 1~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식물자원․조경 영역을 담당한 우수한 농업교사 선발을 위한 출제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한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농업교사 자격 기준과 식물자원․조경 관련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교사 양성 기관 교육과정, 임용고사 기출제문제 분석을 포함한 문헌 연구와 식물자원․조경 교사의 전문성 수행 수준과 교육 요구에 대한 현장교사와의 면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기출제문제 분석 결과 출제된 평균 비율은 작물원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농업교육론, 농업정보에 대한 비중이 점차 강조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교사에 대한 면담, 설문 결과, 전문성 수행 수준에 대한 인식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식물자원․조경 교사 임용을 위한 출제 영역은 농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18개 과목, 교육부 지정 기본 이수 15개 영역 및 양성 대학 교육과정상의 공통이수 10개 영역을 근거로 농업교육론, 농업정보, 작물, 원예, 조림, 조경의 6개 영역을 도출하였으며 내용요소간의 중첩을 고려하여 농업교육론, 농업정보, 작물․원예, 조경․조림의 4개 영역으로 최종 출제 영역이 설정되었다. 출제영역별 반영 비율은 농업교육론 30%, 농업정보 10%, 작물․원예 40%, 조경․조림 10%가 적절하다고 제안되었으며, 영역별로 하위 영역과 구체적인 출제 요소를 도출하고 제안된 평가 준거 및 방향 준수, 교과교육학 반영비율의 상향조정, 교육 현장을 반영한 실제적 문제 출제 등의 평가 및 출제를 위한 구체적인 적용 지침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lan for setting questions of examination for appointing plant resources & landscaping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For this purpose, plant resources & landscaping curriculum and textbook were analyzed. The tendency of questions was identified from questions were set in the past. Major research methods were the interview with teachers, survey, experts review, and a public hear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scopes of possible questions were drawn from analyzing of 18 subjects in agricultural high school, 15 appointed subject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10 subject of teacher education universities. The scopes were (a)agricultural education, (b)agricultural information, (c)plants & horticulture, and (d) landscaping & afforestation. (2)The portion of the scopes were agricultural education 30%, agricultural information 10%, plants & horticulture 40%, and landscaping & afforestation 20%.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지표 개발
- 실천 중심의 리더십 개발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전문지도연구회 학습조직 구축 수준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 식물자원ㆍ조경영역의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방안
-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갈등, 학교조직풍토, 자아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
-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 기업체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조직특성의 관계
- 농업인의 농촌지역사회 만족 결정요인
-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농업인 교육혁신 방안
-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 강원도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실업계고등학교 종합발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