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지도연구회 학습조직 구축 수준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이용수 1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Korean Agricultural Extension Specialist Association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모(Jin-Mo Kim) 주대진(Dea-Jin Ju)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8권 제3호, 137~16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도직공무원들의 자율적 연구모임체인 전문지도연구회의 학습조직 구축 수준과 회원들이 인식하는 단위연구회의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문지도연구회의 학습조직 구축수준을 진단하고, 전문지도연구회 회원들의 단위연구회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전문지도연구회 학습조직 구축수준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전문지도연구회 전 회원을 대상으로, Marquardt(1996)가 학습조직 하위요소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한 학습조직 프로파일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추출된 조직효과성 측정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지도연구회의 학습조직 하부요소별 구축수준은 학습의 역동성(2.50), 조직의 변모(2.70), 사람의 권한부여(2.68), 지식관리(2.49)는 모두 보통 수준 이상으로 적용되고 있었으며, 기술지원(2.21)은 보통 수준을 약간 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단위연구회의 조직효과성은 모두 보통 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목적달성(5.49), 조직몰입(5.17), 조직 만족(4.89), 개인의 전문능력 향상(4.85)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문지도연구회의 학습조직 하부요소별 구축수준과 회원들이 인식하는 조직효과성 항목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Korean Agricultural Extension Specialist Association. The specific objectives in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 analyze the level of the employees`s perception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2) to analyze the level of the employe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 Korean Agricultural Extension Specialist Association, 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collect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leaning organization scale, Learning Organization Profile developed by Marquardt(1996)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cale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ajor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The level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perceived by members in a Korean Agricultural Extension Specialist Association indicated a moderate extent. 2) The levels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erceived by members were showed to be higher than a moderate level. 3) Finally, five learning organization factors had positive high correlation with fou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지표 개발
- 실천 중심의 리더십 개발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전문지도연구회 학습조직 구축 수준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 식물자원ㆍ조경영역의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방안
-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갈등, 학교조직풍토, 자아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
-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 기업체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조직특성의 관계
- 농업인의 농촌지역사회 만족 결정요인
-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농업인 교육혁신 방안
-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 강원도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실업계고등학교 종합발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학교자율시간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사고 개발 가능성: 영화 ‘미키17’과 봉준호감독의 인간 이해와 창작 철학을 중심으로
- 조직공정성이 유아교사의 조직몰입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직렬다중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