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업체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조직특성의 관계
이용수 28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mployee 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진화(Jin-Hwa Lee) 김진모(Jin-Mo Kim)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8권 제3호, 279~30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HRD에서 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자기주도학습을 이해하는 것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학습자의 자기주도성과 학습 장(場)을 구성하는 조직 및 직무특성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유의표집(purposeful sampling)방법을 통해 비교적 차별적 조직특성을 지닌 8개의 회사 근로자를 4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의 도구로는 먼저 종속변인인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측정하기 위해 박지혜(1998)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조직특성의 측정을 위하여 경영자의 학습 인식, 다양성, 학습지원적 제도, 고객지향성, 참여 및 권한 위임, 팀워크, 개방적 의사소통, 혁신지향성 등 총 8개의 변인을 포함한 도구를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학력, 직무유형, 산업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연령, 근무연수에 따라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및 직무특성 역시 산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장으로서의 조직특성을 대표하는 8개 변인들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낮은 유의미한 수준의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중다회귀분석의 결과, 조직특성 변인들 가운데 다양성, 학습지원적 제도, 고객지향성, 혁신지향성이 자기주도학습 준비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산업별로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특성 변인의 설명력이 서로 다르며, 또한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확인된 변인들도 서로 상이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corporate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them,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mployee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population was all corporate employees in Korea. Using purposeful sampling technique, 690 corporate employee of 8 companies were sampled for the study. 413 out of 69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 response rate of 59.5%), of which 397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SDLRS) based on SDLRS K-96 by Kim & Kim(1996),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cal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demographic questions was used.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cale consisted of thirty-six 5-point likert-type items measuring eight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op manager s attitude toward learning, difference, learning support system, customization, employee involvement and empowerment, teamwork, open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rporate employee s SDL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employees educational level and job.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corporate employee s SDLR and employee s sex, age, and the number of working years. 2. All of 8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the top manager s attitude toward learning, difference, learning support system, customization , employee involvement and empowerment, teamwork, open communication, and innovation) had positive low relationship with corporate employee s SDLR. 3. The level of corporate employee s SDLR was explained mostly by difference, learning support system, customization, and innov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지표 개발
- 실천 중심의 리더십 개발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전문지도연구회 학습조직 구축 수준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 식물자원ㆍ조경영역의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방안
-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갈등, 학교조직풍토, 자아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
-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 기업체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조직특성의 관계
- 농업인의 농촌지역사회 만족 결정요인
-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농업인 교육혁신 방안
-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 강원도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실업계고등학교 종합발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