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농업인의 농촌지역사회 만족 결정요인
이용수 6
- 영문명
- Determinants of Farmer s Community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저자명
- 박덕병(Duk-Byeong Park) 조영숙(Young-Sook Cho) 이민수(Min-Soo Lee)
- 간행물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제38권 제3호, 49~7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인들의 농촌지역사회 서비스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2003년 농촌주민(비농가포함) 1870명을 조사하여 그 중 비농가를 제외하고 난 후 1452명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교육과 여가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에 불만을 가진 농업인일수록 지역사회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셋째,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전체적인 서비스 만족도와 주거, 교육에 대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복합취업을 하고 있는 농가일수록 전체적인 만족도와 주거, 교육, 대중교통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만족도를 높이기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여가시설과 교육서비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importance of farmer s community satisfaction gets more increasing than ever because rural population could be tremendously decreasing. Our analysis focuses upon farmer s community satisfaction, largely services. Community satisfaction with services has been an integral part generally of the relevant community studies.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farmer s rural community satisfaction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1452 farmers among 1,870 respondents in 2003. The statistical method hired for this study was the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the major findings, the followings were concluded. First whereas farmers are more likely to satisfy with housing services, not less likely to satisfy with education and recreation services. Second, less satisfied farmer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community meetings. Third women are more likely to satisfy with housing and education services. Fourth it shows that farmer with pluriactivity are less satisfy with housing,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services. It has been suggested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education and recreation services for farmers to enhance community satisfaction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평가지표 개발
- 실천 중심의 리더십 개발교육 프로그램이 리더십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 전문지도연구회 학습조직 구축 수준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 식물자원ㆍ조경영역의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방안
-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갈등, 학교조직풍토, 자아효능감과 직무만족의 관계
- 맞춤형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 기업체 근로자의 자기주도학습 준비도와 조직특성의 관계
- 농업인의 농촌지역사회 만족 결정요인
-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농업인 교육혁신 방안
- 고등학생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 강원도 지역 실정에 부합하는 실업계고등학교 종합발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