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 단원 내용 개선 방안 연구

이용수  20

영문명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National Unification Lessons in Elementary Moral Textbooks
발행기관
한국도덕교육학회
저자명
이영문(Young-Mun Lee)
간행물 정보
『도덕교육연구』도덕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199~22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학교 교육에서 통일 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7차 교육과정에서는 통일 교육을 학교 재량 활동에서 중점적으로 지도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나아가 도덕과의 핵심 영역으로 지정하여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때 과연 통일 교육이 도덕과의 핵심이 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그 경우에 통일교육의 어떤 측면을 다루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질문에 대답이 되어야 한다. 그것은 통일이란 주제는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와 관련이 되어 있으며 학교의 대부분의 교과와도 관련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과에서 통일 교육을 할 때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다루어야 할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행 7차 초등 도덕 교과서의 통일 단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바람직한 통일 단원의 모습을 그려보는 일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미래 초등학교 도덕과의 통일 단원은 통일과 관련된 도덕적 개념을 중심으로 그것을 학년의 증가에 따라 계속성, 계열성, 그리고 통합성의 원리에 따라 학생들의 도덕적 사고를 확장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 사실 전달과 교화조로 되어 있는 교과서의 진술 방식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개념적 진술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통일 단원을 개발할 때는 이러한 점들을 잘 반영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Nowadays n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is treated very importantly in our schools. Especially, seventh national curriculum designated n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as one of discretionary activities of our schools. Furthermore, it designated n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as one of core realms of moral subject matter. But it is not sure that n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come one of core realms of moral subject matter. In fact, national unification is related to every field of our society and most subject matters of schools. In this respect, the rel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and moral subject matter should be clarified. This study inquired distinctive features of national unification education that elementary moral textbooks should treat. Also, the study analyzed national unification lessons of current elementary moral textbooks. As a result of analyses, the study found the necessity of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as principles of the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national unification lessons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Especially, the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conceptual statements as a solution of the statements of national unification lessons that consist of indoctrination and facts in many parts.

목차

Ⅰ. 서론
Ⅱ. 도덕과 통일 교육의 성격
Ⅲ. 초등 도덕과 통일 단원의 분석과 개선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문(Young-Mun Lee). (2005).초등학교 도덕과 통일 단원 내용 개선 방안 연구. 도덕교육연구, 17 (1), 199-222

MLA

이영문(Young-Mun Lee).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 단원 내용 개선 방안 연구." 도덕교육연구, 17.1(2005): 199-2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