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과 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총론과 각론의 관점 조율 과제 탐색
이용수 504
- 영문명
- Exploration of tasks to coordinate the perspectives on how to present content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홍은숙(Eunsook Hong) 이경진(Kyungjin Lee) 황규호(Gyu-Ho Hwang) 온정덕(Jung Duk Oh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제40권 제3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에서는 교과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구조화함으로써 학습의 질 개선을 도모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실제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이러한 의도가 충실하게 구현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개발 과정에 참여한 경험과 연구자료 및 회의자료, 보고서 등에 대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교과교육과정의 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총론과 각론의 관점의 차이를 분석하고 학습 내용 제시방식과 관련된 개선 과제를 반성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호주의 교과 내용 제시방식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서 교과 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총론-각론의 관점 조율을 위한 과제들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지침을 개발할 때 총론과 각론 팀이 공동으로 작업해야 한다. 둘째, 교과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의 의미를 명료화하고 상호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기초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현 교육과정 문서상의 성취기준의 성격과 진술 방식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함으로써 학습 내용 제시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mphasis was placed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earning by structuring the content around key concepts. However, in the actual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this idea was not faithfully implemented. In this study, based on our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long with a review of the results of research materials, conference materials, and reports, we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regarding how content was presented and reviewed some possible improvements. Then, we analyzed subject curricula in Australia that could be an alternativ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on coordinating perspectives on how to present content in the next curriculum. First, when developing guidelines for subject curricula, the general framework team and subject curricula teams should work together. Second, bas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main elements that make up the curriculum in order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Third, the presentation of contents should be improved by fundamentally reviewing the nature and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current curriculum documents.
목차
Ⅰ. 서론
Ⅱ.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관점 차이
Ⅲ. 교과 내용 제시방식의 대안 사례 분석: 호주 사례
Ⅳ. 교과 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총론-각론 관점 조율 과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체육교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과 교과서 민속무용 내용 탐색
-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에 대한 분석: CAEP 체제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영어 자기주도학습능력 조사 연구
- 인공지능교육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폴리드론을 활용한 전개도 학습 활동 사례 연구
- 민주시민교육의 재발견–개념과 근거를 중심으로
- 초등 사회과 융복합수업 실행연구: 지역 공동체 문제해결수업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Micro-teaching Feedback and its Relations with their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 교원 성과상여금 제도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 자기평가와 수업전략
- COVID-19로 인한 온라인과 대면 수업 병행 운영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과학 수업의 어려움 분석
- 교과 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총론과 각론의 관점 조율 과제 탐색
- 직접교수법(Direct Instruction)을 활용한 수학지도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와 연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활동 실태
- 초등학생 유튜브 경험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일 국제 공동수업에서의 문화 간 대화와 교사 성장
- 만주 수학여행과 식민지 지배 인재 양성 교육: 경성중학교『교우회지』(1923-1935) 분석을 중심으로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에 활용된 문부성 저작 교과서의 성격: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3) 토지와 인간(私たちの生活(三) 土地と人間)’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