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주시민교육의 재발견–개념과 근거를 중심으로

이용수  335

영문명
Revisi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cusing on the Concept and Ground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장준호(Chang, Jun-Ho)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제40권 제3호, 135~15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이란 무엇인가?” “민주시민교육은 왜 필요한가?” 이 두 가지 질문에 답변하려고 했다. 우선, 민주시민교육의 개념적 혼란을 두 문헌에 기초하여 살펴보았고, 교육부가 제시한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광역단체와 시도교육청의 조례에 반영된 민주시민교육의 개념도 살펴보았다. 교육부의 민주시민교육 개념은 논리적이지 못했고, 광역단체와 시도교육청의 개념도 보편적이기는 하지만 민주시민교육의 실체와 원형을 반영하고 있지 않았다. 현재 민주시민교육의 개념이 다양하지만 보편개념이 없다는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 플라톤의 이데아에 대한 형이상학적 사유를 활용했다. 플라톤의 이데아론은 민주시민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실체적 이데아에 접근하는데, 나아가 민주시민교육의 개념들을 포괄할 수 있는 보편개념(이데아의 이데아)을 설정하는데 유용했다. 존 스튜어트 밀의 사유를 통해 근대 이후 자유민주주의를 위한 민주시민교육의 원형실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밀은 자기의견을 형성하는 역량과 사익을 넘어 공익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것을 민주시민교육의 핵심으로 보았다. 나아가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한 근거를 철학, 현실, 미래의 관점에서 찾아보았다. 철학적 근거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현실적 근거는 헌법질서와 갈등혐오사회의 맥락에서, 미래적 근거는 급격한 변화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미래역량의 맥락에서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following two questions are addressed in this article: what i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why i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necessary? First, the conceptual confusion regard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as examined based on two documents, and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at wa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oncep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at is reflected in the ordinances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re presen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pt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not logical, and that of the regional organizations and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ere universal; however, this did not reflect the reality and prototyp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lato’s theory of “Ideas” was used to address the problem of diverse, yet unclear concepts.

목차

Ⅰ. 서론: 민주시민교육에 관한 두 가지 질문
Ⅱ. 본론
Ⅲ. 결론: 시민교육의 이데아에 관여하는 다양한 민주시민교육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준호(Chang, Jun-Ho). (2020).민주시민교육의 재발견–개념과 근거를 중심으로.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0 (3), 135-156

MLA

장준호(Chang, Jun-Ho). "민주시민교육의 재발견–개념과 근거를 중심으로."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0.3(2020): 135-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