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사회과 융복합수업 실행연구: 지역 공동체 문제해결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260

영문명
Action Research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Convergence Class: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Problem-solving Clas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영현(Kim, Younghyun)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제40권 제3호, 275~29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 공동체문제를 소재로 한 사회수업을 여러 해 실천하였지만 학습자의 숙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해결수업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는 A교사와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융복합수업 코티칭을 제안한 B교사의 실행연구를 통해 사회과 융복합수업의 설계와 실천을 살펴보고, 교육적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9년 2월부터 8월까지 연구참여자인 두 교사의 회의자료, 수업동영상, 학습자의 수업소감문 등을 연구자료로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과 해석은 2019년 9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행연구 결과 연구참여자 교사들은 사회과 융복합수업을 위해 문제인식을 공유하고 수업을 설계하며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서 고민해 온 기존 사회수업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사회과의 입체적인 사회현상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교과 간 융복합수업이 증가될 필요가 있으며 융복합수업을 통한 교사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환경과 교사교육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는 시사점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sign and practice of convergence classes in social studies and derives educational implications. Teacher A was unable to determine a solution for a problem-solving class wherein, based on a community problem, the learner s deliberation was not included in a social studies class. Teacher B suggested convergence class coaching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From February to August 2019, meeting data, class videos, and learners testimonials from the two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collected as research data. Moreover,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data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2019 to June 2020.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study, the study participant teachers were able to overcome the majority of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ocial classes that they had been contemplating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problem perceptions, and designing and practicing for convergence classes. Moreover, to tackle the three-dimensional social phenomena of social studies, the convergence class between subjects must be increased,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eacher education opportunities must be provided for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ism through convergence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사회과교육과 융복합교육
Ⅲ. 연구방법
Ⅳ. 실행연구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현(Kim, Younghyun). (2020).초등 사회과 융복합수업 실행연구: 지역 공동체 문제해결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0 (3), 275-298

MLA

김영현(Kim, Younghyun). "초등 사회과 융복합수업 실행연구: 지역 공동체 문제해결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0.3(2020): 275-2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