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 유튜브 경험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493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Children’s YouTube Culture : Focusing on children’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김아미(Kim, Amie)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제40권 제3호, 341~35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유튜브라는 소셜 미디어 기반 공간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떠한 인식을 키워가고 있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표현, 소통,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인 유튜브에서 초등학생이 어떠한 소통의 양식을 익히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초등학생의 실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미디어 문화에 대한 교육적 대응은 어떠해야 할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관내 5-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초점그룹면담을 진행하였고, 초등학생들의 미디어 사용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사와 전문가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유튜브를 감정을 주고받는 공간이자, 비공식적 학습의 공간, 정체성 구현 및 실험의 공간으로 경험하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튜브 사용 경험을 통해 유튜브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축적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교사나 학교, 가정 차원의 교육적 개입 및 대응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ltural experience of children in YouTube. This study aims to find explaination about the ways in which children communicate with others and oneself in YouTube, which is a platform afford users to express, communicate and network. Ultimately, this paper aims to draw some implications for how education should response to the media culture that has a great impact on the children s real life. For this purpose, two elementary schools placed in the Gyeonggi province were chose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hildren in grades 5-6 were conducted. In addition,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xt of media use of children,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teachers and experts. Research shows that children experience and perceive YouTube as a place to exchange emotions, a space of informal learning, a space of identity building and experimentation. At the same time, children are accumulating empirical knowledge about YouTube through their trial and error in YouTube. This study suggests that to support children’s active and healthy usage of YouTube and eventually digital media, teachers’ and parents’ interventions based on appropriate understandings of young people’s meaning-making of the media ar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아미(Kim, Amie). (2020).초등학생 유튜브 경험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0 (3), 341-358

MLA

김아미(Kim, Amie). "초등학생 유튜브 경험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0.3(2020): 341-3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