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이용수 259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 via Flourishing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장영숙(Jang, Young– Sook)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제40권 제3호, 255~2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자아탄력성, 행복플로리시,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인천광역시의 공립과 사립 유치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257명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유치원 교사들에게 자아탄력성, 행복플로리시, 창의적 교수행동에 관한 질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탄력성, 행복플로리시, 창의적 교수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는 적합도 지수 모두에서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은 행복플로리시와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행복플로리시도 창의적 교수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창의적 교수행동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행복플로리시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행복플로리시는 자아탄력성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변인으로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flourishing,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investigates the mediation effects of flourishing. The participants were 257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Incheon.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s.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ith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applied to verif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the stud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positively affects their flourishing and creative teaching behavior, and flourishing also positively affects creative teaching behavior.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indirectly affects creative teaching behavior through flourishing. Therefore, flourishing is noted as a positive mediating variable among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ego-resilience on creative teaching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체육교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과 교과서 민속무용 내용 탐색
-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에 대한 분석: CAEP 체제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영어 자기주도학습능력 조사 연구
- 인공지능교육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폴리드론을 활용한 전개도 학습 활동 사례 연구
- 민주시민교육의 재발견–개념과 근거를 중심으로
- 초등 사회과 융복합수업 실행연구: 지역 공동체 문제해결수업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Micro-teaching Feedback and its Relations with their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 교원 성과상여금 제도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 자기평가와 수업전략
- COVID-19로 인한 온라인과 대면 수업 병행 운영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과학 수업의 어려움 분석
- 교과 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총론과 각론의 관점 조율 과제 탐색
- 직접교수법(Direct Instruction)을 활용한 수학지도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와 연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활동 실태
- 초등학생 유튜브 경험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일 국제 공동수업에서의 문화 간 대화와 교사 성장
- 만주 수학여행과 식민지 지배 인재 양성 교육: 경성중학교『교우회지』(1923-1935) 분석을 중심으로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에 활용된 문부성 저작 교과서의 성격: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3) 토지와 인간(私たちの生活(三) 土地と人間)’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