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로 인한 온라인과 대면 수업 병행 운영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과학 수업의 어려움 분석
이용수 846
- 영문명
- Analysis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e to the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in COVID-19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정숙진(Jung, Suk-Jin) 신영준(Shin, Young-Joon)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제40권 제3호, 93~1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하여 온라인과 대면 수업이 병행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초등교사가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초등교사 6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수업 전’ 활동에서 수업 설계가 가장 어려운 영역은 온라인 수업에서 운동과 에너지, 대면 수업에서 생명 영역으로 나타났다. 모두 실험 활동 자체가 이루어지지 못함에서 비롯된 어려움이었다. ‘수업 중’ 활동에서 교수 학습 방법 중 가장 수행하기 어려운 것은 온라인, 대면 수업에서 모두 실험 활동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실험 활동 자체를 진행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큰 아쉬움을 나타냈다. 교수 학습 방법 외의 어려운 점은 다양한 활동의 제약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에서는 교사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만 이루어지고 즉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 대면 수업에서는 방역수칙에 따라,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에 대해 안타까움을 나타냈다. ‘수업 후’ 활동에서는 학생마다 이해도가 다르고 즉각적인 피드백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COVID-19 이후 우리는 본격적인 온라인 교육 시대를 맞이하였다. 누구도 처음 겪는 이 상황에서 초등교사는 과학수업에서 위와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의 목소리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다각도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ifficultie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cause online and offline science classes were conducted concurrently due to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Sixty-six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a survey conducted for the current study.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t difficult areas for class design in the “before class” activities were the exercise and energy domains for online classes, and the life domain for offline classes. These difficulties arose from the inability to conduct experimental activities. Amo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cluded in the “in class” activity, the most difficult task to perform was experimental activities in both online and offline classes. The teachers expressed significant regret for being unable to proceed with the experiment activity. In addition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limitation of various activities was yet another difficulty. In online classes, only teachers unilateral lecture-style classes were conducted, thus immediate feedback could not be provided. Moreover, in the offline class, they expressed regret for being unable to engage in active interactions because they are required to observe the quarantine rules. During the after class activity, the teacher noted that each student had a different understanding and it is difficult to derive immediate feedback.
In this situation that the current population has no prior experience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faced the aforementioned difficulties while conducting a science class. Since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we have entered a full-fledged online education era.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at the national level must be provided through various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체육교과 교육과정 표현 영역과 교과서 민속무용 내용 탐색
-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에 대한 분석: CAEP 체제를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영어 자기주도학습능력 조사 연구
- 인공지능교육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폴리드론을 활용한 전개도 학습 활동 사례 연구
- 민주시민교육의 재발견–개념과 근거를 중심으로
- 초등 사회과 융복합수업 실행연구: 지역 공동체 문제해결수업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nglish Teachers’ Micro-teaching Feedback and its Relations with their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 교원 성과상여금 제도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수업 자기평가와 수업전략
- COVID-19로 인한 온라인과 대면 수업 병행 운영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과학 수업의 어려움 분석
- 교과 내용 제시방식에 대한 총론과 각론의 관점 조율 과제 탐색
- 직접교수법(Direct Instruction)을 활용한 수학지도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수와 연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활동 실태
- 초등학생 유튜브 경험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일 국제 공동수업에서의 문화 간 대화와 교사 성장
- 만주 수학여행과 식민지 지배 인재 양성 교육: 경성중학교『교우회지』(1923-1935) 분석을 중심으로
- 전후 일본의 초기 사회과에 활용된 문부성 저작 교과서의 성격: 소학교 6학년 사회과 지리 영역의 ‘우리들의 생활(3) 토지와 인간(私たちの生活(三) 土地と人間)’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