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에 대한 분석: CAEP 체제를 중심으로

이용수  262

영문명
An analysis of US accreditation system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박주형(Juhyoung Park)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제40권 제3호, 321~34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교원양성기관 평가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오랜 기간 체계적으로 교원양성기관 프로그램 인증을 진행한 미국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분석틀(제도의 배경, 시행기관, 인증절차, 인증기준)을 설정하고 이 틀에 따라 CAEP(Council for the Accreditation of Educator Preparation) 인증제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는 데이터기반 성과중심 교육개혁의 흐름을 따르고 있으며, CAEP는 인증기준을 외부기준과 연계하여 설정하고 외부기관과 협력하여 적용하고 있었다. 또한 인증기간을 7년으로 설정함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증대상기관의 프로그램 질 향상을 위한 제도를 운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기관 역량진단에 졸업생의 성과를 지표에 포함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둘째, 전공영역별 질 평가를 위한 방법을 구체화한다. 셋째, 교원양성기관이 역량진단에 대해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평가지표가 교원양성기관 프로그램 개선에 활용할 수 있도록 평가기간을 늘리고 평가지표를 일정기간(1년) 이전에 사전공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where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systemically accredited,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Korea. To this end, an evaluation system analysis framework (system background, enforcement agency, certification proces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was established,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of the Council for the Accreditation of Educator Preparation (CAEP) was analyzed based on this framework.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current certification system for US teacher training programs follow the flow of data-based, performance- oriented education reform, and that CAEP established accreditation standards in connection with external standards and in coopera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s. Moreover, by setting the accreditation period as 7 years, the education programs can be operated with the goal of improving the program quality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Thus, the competency diagnosis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must include the performance of graduates in the indicators. The method for quality management must be materialized by a major field. Moreover, to ensure the predictability of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competency diagnosis, it is necessary to pre-announce the diagnosis period and diagnostic indicators before a specific period (1 year).

목차

Ⅰ. 서론
Ⅱ. 교원양성기관 인증에 대한 이해
Ⅲ.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
Ⅳ.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의 특징과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주형(Juhyoung Park). (2020).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에 대한 분석: CAEP 체제를 중심으로.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0 (3), 321-340

MLA

박주형(Juhyoung Park). "미국의 교원양성 프로그램 인증제도에 대한 분석: CAEP 체제를 중심으로." 교육논총(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0.3(2020): 321-3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