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의 학습멘토링 효과
이용수 156
- 영문명
- Effects of Learning Mentoring for Athlet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김비아(Kim, Bia) 이근모(Lee, Keun-mo) 정성우(Jung, Sung-woo)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6권 제2호, 71~8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들의 학습멘토링 운영 어려움과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남학생 12명과 중요타자 8명 총 20명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개방형질문지, 멘토링 수업일지, 학업성취도, 경기성적,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면담시간은 약 15분 ~ 20분 소요되었다. 자료 분석단계에서는 멘토링 수업에 대한 연구참여자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한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구체적인 정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면담, 연구일지, 생활통지표와 전국대회 성적을 4회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멘토링 운영의 어려움으로 멘토링 수업의 효과 미비, 훈련시간 부족, 경기력 저하, 멘토링 수업의 제도적 미비, 멘토링 수업을 위한 예산부족 그리고 지도자의 학업과 운동 병행에 대한 역할 갈등으로 나타났다. 멘토링 수업의 긍정적 효과는 멘토링 수업의 만족과 인식변화, 학업성취도의 변화, 멘토링 수업과 경기력의 상관관계 부족 그리고 자기발견의 기회제공 및 인간적 성장의 의미 있는 결과로 나타나 멘토링 수업은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들의 학업과 운동의 균형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인생을 준비하고 설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nted to develop an application for auxiliary learning materials to revitalize the 2015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curriculum movement training classes. The six types of authorized textbooks and preceding research were analyzed and nine menus were composed of the principles of motion pictures, learning contents by unit, and video materials. In the Start menu, the concept of help, safety rules, and action drawings and the warm-up exercise screen were constructed to guide users to use the application easily. In learning, which is the main function of the application, the principle of learning by unit, video learning, supplementation and learning confirmation screens of mat movement, vaulting movement, average exercise, and iron rod movement were constructed so that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performed. In thinking screen, the motivation was induced by creating motion-pilot newspaper and deep image learning. On the sharing screen, we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bout what we felt and what we learned through the motion-picture class. The value and characteristics of motion pictures and the operation training classes were made easier to understand on the challenging activity learning.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intellectual curiosity on the last other screen, the QUIZ, game of motion taking, and QR code, friend recommendation function were used to increase the motivation of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ed challenge Activity application will be readily available to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high school burden and students for class improvement, and can contribute to the quality development of physical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suitable to other learning uni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신념에 따른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 게임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실천과 성찰
-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과 검정 교과서 도전 및 경쟁영역의 내용 정확성 및 타당성 탐구
- 가상현실 스포츠실 TPACK 탐색: 초등체육을 중심으로
- 뉴스포츠 활용 체육수업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과정 탐구
-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의 학습멘토링 효과
- 학령기 아동의 심혈관대사위험예측을 위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신장비의 역할 비교
-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현실과 개선방안
-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내 무형문화유산 콘텐츠 분석
- 댄스스포츠 활동이 비만 아동의 혈류속도 및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