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뉴스포츠 활용 체육수업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과정 탐구
이용수 299
- 영문명
- A Study on the Key Competencies Development Process of High Grade girls of Elementary School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using News Sport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최흥섭(Choe, Heung Seop)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6권 제2호, 89~10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6가지 핵심역량이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들의 체육수업에서 어떠한 과정을 통해 나타나고, 함양되고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관리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게임 만들기와 학생들 스스로 주도적인 진행을 경험할 수 있는 역할을 많이 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었고, 지식정보처리 역량은 ‘스포츠에 대한 앎’을 강조하는 수업이 효과적이었다. 창의적사고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게임 만들기 수업, 전략·전술 활용, 타 교과와의 융합수업 등이 효과적이었고, 심미적감성 역량은 융합수업을 통한 다양한 감상 자료 제작 및 평가가 효과적이었다. 공동체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모둠이나 팀을 이루어 토의 및 토론이 있는 체육수업이 효과적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연구로는 남녀 학생이 함께 상호작용하는 가운데서 어떻게 함양되는지에 대한 연구와 체육교과 핵심역량과의 유기적인 관계가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six core competencies of the revised 2015 curriculum generalizations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 6th grade girls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which they appear and are cultivated. According to the study, it was effective to create games that considered students level and to have students play a role in leading their own progress, whil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kills were effective in classes that emphasized understanding knowledge on sports. To foster creative thinking capabilities, game making classes, use of strategy and tactics, and convergence classes with other subjects were effective, while aesthetic sensibility skills were effective in producing and evaluating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through convergence classes. Physical education classes with discussion and discussion in groups or teams were effective to foster community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Subsequent studi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first call for research on how male and female students, not just female students, are fostered in the interaction, and what is their organic relationship to the core competency of physical education under specific circumstan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고학년 여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과정에 대한 탐구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신념에 따른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 게임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실천과 성찰
-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과 검정 교과서 도전 및 경쟁영역의 내용 정확성 및 타당성 탐구
- 가상현실 스포츠실 TPACK 탐색: 초등체육을 중심으로
- 뉴스포츠 활용 체육수업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과정 탐구
-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의 학습멘토링 효과
- 학령기 아동의 심혈관대사위험예측을 위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신장비의 역할 비교
-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현실과 개선방안
-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내 무형문화유산 콘텐츠 분석
- 댄스스포츠 활동이 비만 아동의 혈류속도 및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