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댄스스포츠 활동이 비만 아동의 혈류속도 및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9
- 영문명
- The Effect of Dance Sports Activities on Blood Flow Velocity and Vascular Control Factors of Obese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장용우(Jang, Yong-woo) 송지환(Song, Ji-hawan)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6권 제2호, 159~16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6주간의 댄스스포츠활동이 동맥의 혈류속도와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대상자들은 실험군 10명, 통제군 10명으로 분류하였다. 비만여자아동들은 체성분 분석기인 Inbody 3.0을 이용하여 체지방을 측정하고 초음파도플러(Ultrasound Doppler)를 이용한 쇄골하동맥혈관(subclavian artery blood vessels)의 혈류속도 측정과 산회질소(NO) 및 엔도텔린1(ET-1)을 분석하였다. 혈류속도의 경우 실험군, 통제군의 쇄골하동맥 최대혈류속도는 통계적인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평균혈류속도는 실험군의 경우 통재군에 비해 -28.6%의 유의한 감소비율로 나타났다. NO의 경우 실험군은 통제군에 비해 16.3%의 유의하게 높은 증가비율을 나타냈다. ET-1의 경우 실험군은 통제군에 비해 -28.6%의 유의하게 낮은 감소비율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비만여자아동의 혈류속도의 감소비율과 연계된 NO의 증가와 ET-1의 감소를 통해 장기간의 댄스스포츠활동에 적응된 평균혈류속도와 NO 및 ET-1의 민감성에 대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은 여자아동들의 비만의 해소와 혈관계의 기능적 향상 및 NO와 ET-1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되며, 추후 비만여자아동의 체지방 감소, 혈류속도의 개선과 혈관조절인자의 조절을 위한 효과적인 유산소성 운동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Effect of Dance Sports Activities on Blood Flow Velocity and Vascular Control Factors of Obese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16-week dance sports activity on the blood flow velocity and vascular control factor of the artery. To carry out this study, the group was classified into 10 subjects and 10 control groups. Obese children used Inbody 3.0 to measure body fat, measure blood flow velocity of subclavian artery blood vessels using Ultrasound Doppler, and analyze oxygen nitrogen (NO) and endotheline 1 (ET-1). For blood flow rat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maximum blood flow rate of the subclavian artery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average blood flow rate was shown to be a significant reduction rate of -28.6% compared to the Tongjae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NO,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increase of 16.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ET-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eduction rate of -28.6%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summary, the increase in NO linked to the decrease in blood flow rate of obese children and the decrease in ET-1 enabled us to observe changes in the average blood flow rate and sensitivity of NO and ET-1 adapted to long-term dance sports activities. Therefore, the dance sports program presented in this study is believed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limination of obesity in girls, the functional improvement of blood relations, and the change in NO and ET-1, and is intended to be presented as an effective aerobic exercise program for reducing body fat, improving blood flow rates and regulating vascular control factors in later yea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Ⅱ.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신념에 따른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 게임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실천과 성찰
-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과 검정 교과서 도전 및 경쟁영역의 내용 정확성 및 타당성 탐구
- 가상현실 스포츠실 TPACK 탐색: 초등체육을 중심으로
- 뉴스포츠 활용 체육수업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과정 탐구
-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의 학습멘토링 효과
- 학령기 아동의 심혈관대사위험예측을 위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신장비의 역할 비교
-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현실과 개선방안
-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내 무형문화유산 콘텐츠 분석
- 댄스스포츠 활동이 비만 아동의 혈류속도 및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