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현실 스포츠실 TPACK 탐색: 초등체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308
- 영문명
- Exploration of TPACK in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박세원(Park, Sewon) 김영식(Kim, Youngsik) 배명훈(Bae, Myeonghun)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6권 제2호, 107~1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등체육을 위한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을 탐색함으로써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교육적 활용도를 제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교육적 감식안을 바탕으로 Eisner(1991, 1995)의 교육비평을 연구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자료는 가상현실 스포츠실 관련 공식·비공식 문서, 수업 사진 및 영상, 연구자 노트 등을 수집하고, Elo와 Kyngäs(2007)의 질적 내용 분석법과 Glaser와 Strauss(1967)의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 스포츠실은 초등체육의 ‘보완제’ 역할을 한다. 둘째,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콘텐츠는 계열성과 다양성을 고려하여 FMS와 다양한 신체활동 및 스포츠형 게임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셋째,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교수·학습방법에는 개별성, 자기주도성, 상호작용성, 적합성의 원리가 있다. 넷째, 가상현실 스포츠실의 실제 운영은 연계성, 확장성, 한계성의 특징이 있다. 이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초등체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다가올 미래교육을 준비하는 계기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by exploring the TPACK in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For this study, Eisner (1991, 1995) s educational criticism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researcher s educational connoisseurship. We collected official and unofficial documents related to virtual reality sports rooms, class photos and videos, and researcher note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Elo and Kyngäs (2007)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Glaser and Strauss (1967)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serves as a supplement for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Second, the contents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mainly include FMS and various sports in consideration of sequence and diversity. Third, there are the principles of individuality, self-directedness, interaction, and suitability in the teaching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Fourth, the actual operation of the virtual reality sports room has the characteristics of articulation, scalability, and limit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new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using technology in the post-coronavirus era and prepares for future education to com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신념에 따른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 게임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실천과 성찰
-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과 검정 교과서 도전 및 경쟁영역의 내용 정확성 및 타당성 탐구
- 가상현실 스포츠실 TPACK 탐색: 초등체육을 중심으로
- 뉴스포츠 활용 체육수업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과정 탐구
-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의 학습멘토링 효과
- 학령기 아동의 심혈관대사위험예측을 위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신장비의 역할 비교
-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현실과 개선방안
-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내 무형문화유산 콘텐츠 분석
- 댄스스포츠 활동이 비만 아동의 혈류속도 및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