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현실과 개선방안
이용수 3,211
- 영문명
- The reality and improvement plan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to deal with corona-19.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양동석(Yang, Dong-Suk) 조건상(Cho, Gun-Sang) 유은혜(Yoo, Eun-Hye)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6권 제2호, 131~1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에 대처하여 온라인 체육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초등학교 체육교사들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한 의견에 대하여 심층적인 이해를 하고 온라인 체육수업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 현재 초등학교 교사 중 온라인 체육수업을 진행한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 외에 문서자료수집과 다양한 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체육 수업 준비에 대한 초등학교 체육교사들의 스트레스가 과중되었으나 온라인 수업에 돌입하면서 그 과정을 극복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나타내었다. 둘째, 온라인 체육 수업의 진행과정에 있어 초등학교 체육교사들은 코로나-19 이전 학교생활에 대한 반성과 노력으로 현장교사들의 단합된 모습을 통해 수업진행에 있어 교사들의 열정을 느낄 수 있었다. 셋째, 위기를 재도약의 기회로 생각하며 초등학교 교사들은 자신감과 창의력으로 걱정의 요소들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용 콘텐츠 및 교수·학습 개발이 필요하며, 4차 산업 시대에 맞추어 언제 어디서라도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미래형 초등학교 체육수업에 대한 플랫폼 구축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opinions about the practical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conducting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response to Corona-19 and to seek ways to improve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this end, as of March 2020,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conducted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in addition, document data collection and various document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ess of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preparing for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was overwhelming, but they showed a strong will to overcome the process as they entered the online class. Second, in the course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able to feel the passion of teachers in class progress through the united appearance of field teachers through reflection and effort on school life before Corona-19. Third, thinking of the crisis as an opportunity to take a leap forwa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anged the factors of worry with confidence and creativ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online teaching content and teaching / learning suited to the level of learners, and to build a platform for future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at can be easily and quickly used anytime, anywhere according to the 4th industrial era. Was intended to provid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신념에 따른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 게임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실천과 성찰
-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과 검정 교과서 도전 및 경쟁영역의 내용 정확성 및 타당성 탐구
- 가상현실 스포츠실 TPACK 탐색: 초등체육을 중심으로
- 뉴스포츠 활용 체육수업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과정 탐구
-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의 학습멘토링 효과
- 학령기 아동의 심혈관대사위험예측을 위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신장비의 역할 비교
-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현실과 개선방안
-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내 무형문화유산 콘텐츠 분석
- 댄스스포츠 활동이 비만 아동의 혈류속도 및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