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이용수 3,066
- 영문명
- A survey on the Online Physical Education during COVID - 19 Pandemic.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김세기(Kim, Seki)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26권 제2호, 145~1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개학에 따른 영역별 체육 수업의 운영 플랫폼, 콘텐츠, 체육 수업의 운영 내용 구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영역별 균형 있는 온라인 체육 수업 준비와 감염병 재확산으로 인한 유사한 상황의 발생에 대비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경상남도 시⦁군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사 120명(남자 70명, 여자 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체육수업에 관한 반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기기입방법을 적용하여 배포 및 수거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4월 20일부터 2020년 5월 30일까지 6주간 18시간의 체육수업 내용에 한정하여 층화표집 방법에 의해 실태를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PAS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온라인 체육 수업 실태와 관련된 여러 질적 변수들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검정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온라인 개학에 따른 온라인 플랫폼 사용 현황은 모든 범주에서 e 학습터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6학년에서만 쌍방향 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EBS 온라인 클래스는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 둘째, 온라인 수업 활용 콘텐츠 현황은 모든 범주에서 유튜브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EBS 콘텐츠는 가장 적게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업 활용 콘텐츠 자체 제작 비율은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경력별로는 경력 6∼10년의 교사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3학급 이상 규모의 학교와 전담이 담임보다 높았다. 셋째, 체육과 지도 영역 현황은 모든 학년과 시기에서 건강 영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쟁 영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안전 영역의 비율이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체육과 지도 영역 현황은 전체적으로 인지와 심동 영역의 응답 비율이 높고 정의 영역이 낮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3, 4 학년에서는 심동적 영역, 5, 6 학년에서는 인지적 영역이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시기별 지도 영역 현황은 주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심동, 인지, 정의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operating platform,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operation contents of each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online due to over the novel corona 19, and similar situation due to balanced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 preparation and re-proliferation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future It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occurrence of the problem. This is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bout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1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70 males and 50 females) who are working in the municipality of Gyeongsangnamdo.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20, 2020 to May 30, 2020 and limited to 18 hour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6 week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PASW 18.0 program to cross-analyze various qualitative variables related to the actual condition of online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platform usage status according to online school was the most used e-learning site in all categories, and the ratio of the interactive type was the highest in the 6th grade, but the EBS online class was not used at all.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class use content used YouTube the most in all categories, and EBS content tended to use the least. The rate of self-produced content using classe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teachers with 6-10 years of experience were the highest in their careers. Third,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and instructional areas was the highest in all grades and periods, and the competition area was the lowest.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safe areas. In the physical education and instruction area, overall, the response rate of the cognitive and cardiac area was high and the definition area was low, and the affective domain was the highest in the 3rd and 4th graders and the cognitive area in the 5th and 6th graders. The status of the map area by period was slightly different by state, In the selec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in a lower level category, psychomotor domain was used most and cognitive was followed by the affective domain. It was found that the affective domain was used leas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신념에 따른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코로나 19로 인한 초등학교 체육교과 원격수업 실태 분석
- 게임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실천과 성찰
- 초등학교 5, 6학년 체육과 검정 교과서 도전 및 경쟁영역의 내용 정확성 및 타당성 탐구
- 가상현실 스포츠실 TPACK 탐색: 초등체육을 중심으로
- 뉴스포츠 활용 체육수업에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핵심역량 함양 과정 탐구
- 초등학교 학생운동선수의 학습멘토링 효과
- 학령기 아동의 심혈관대사위험예측을 위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신장비의 역할 비교
- 코로나-19에 대처하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현실과 개선방안
-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 내 무형문화유산 콘텐츠 분석
- 댄스스포츠 활동이 비만 아동의 혈류속도 및 혈관조절인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