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운동 연구 탐색(국내 연구)
이용수 72
- 영문명
- A Study of Domestic Psychomotor Research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정창숙(Jung, Changsuk)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25권 제1호, 161~17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 다룬 심리운동은 신체활동을 통한 개개인의 능력과 특성에 알맞으며 중재대상자에게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만족감을 줄 수 있으므로 학문적 요구에 대한 흐름인 다학제적 접근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발맞추어 갈 중재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신체활동을 통한 심리운동은 움직임을 통한 자아개념 형성 및 전인적 발달에 그 기본원리를 두고 있다. 운동치료와 심리치료가 각각의 단편적인 중재효과에 초점을 맞춘다면 심리운동은 이들 간의 중복요소적 중재효과를 바탕으로 이차적인 치료의 기능뿐만 아니라 정신적·심리적 예방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들을 탐색해 보면 주로 장애 유·아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심리운동은 장애의 유무나 나이의 고하, 그리고 운동능력의 정도에 상관없이 모두를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심리운동을 더 많고 다양한 대상에게 그 효과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5년 이전부터 2017년 5월까지의 심리운동 연구 학술논문 44편, 학위논문은 석사학위논문 93편, 박사학위논문 11편의 연구유형별, 연구연령별, 연구대상별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동향탐색을 통해 국내 심리운동의 저변확대와 발전을 위해서 다양한 대상에의 연구와 연구에 대한 결과 및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Psychomotor therapy is on the rise as an intervention alternative for the new paradigm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 multitude of academic disciplines have deemed physical activity a suitable form of treatment for individual abilities and characteristics while at the same time giving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satisfaction to the subjects of intervention. Psychomotor through physical activities is based on the formation of self-conception and the whole-person development through movements. Therapeutic exercise and psychotherapy focus on the fragmentary intervention effects while psychomotor functions as secondary therapy as well as psychological/mental prevention based on the intervention effect of duplicate elements. Nevertheless, majority of the existing research focuses on infants/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psychomotor could be applied to everyone regardless of disabilities, age, and exercise ability. To do so, it would be necessary to apply the effects of psychomotor to much more diversified populations. This study examined 44 academic theses, 93 master’s theses, and 11 doctoral theses on psychomotor research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7. A trend inquiry on type, age, and subject revealed the importance of diversity in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domestic psychomotor therapy.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병원 콜센터 장애인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 연구
- 해체가족 구성원의 외상 후 성장 경험 분석
- 알코올 의존자 가족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의 효과
- 부모의 정서적 학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심리운동 연구 탐색(국내 연구)
- 주의초점 유도가 특질반추 집단의 자서전적 기억의 특정성에 미치는 영향: 반추적, 주의분산적, 경험적 주의초점 유도의 효과
-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근거 자기 존중감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