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병원 콜센터 장애인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 연구
이용수 51
- 영문명
- Job Stress Experiences of Counselors with Disabilities Employed at a Hospital Call Center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정나래(Jung, Narae) 김용수(Kim, Yongsoo)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25권 제1호, 19~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병원 콜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 상담원들이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경험의 내용과 구조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질적 연구 중 현상학적 접근 방법을 적용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가 제시한 6단계 절차를 따라 분석하였다. 2016년 10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병원 콜센터 장애인 상담원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 면접으로 수집한 원자료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발생’,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증상’,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직무스트레스의 의미 발견’, ‘삶의 변화와 기대 및 다짐’ 등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의미발견’에서 참여자들은 장애인으로서 병원 콜센터 직장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있었다. 셋째, ‘삶의 변화와 기대 및 다짐’에서 참여자들은 입사 초기와 비교할 때 직무스트레스가 많이 개선되는 삶의 변화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job stress experiences perceived by counselors with disabilities working in a hospital call center. For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was utilized and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as applied.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6-stage procedure suggested by Colaizzi (1978).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original material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5 themes were drawn: ‘occurrence of job stress’, ‘symptoms caused by job stress’, ‘handling job stress’, ‘discovering the meaning of job stress’, and ‘change of life, expectation, and resolution.’ Second, in ‘discovering the meaning of job stress’,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formed a positive image specific to working at the hospital call center. Third, in ‘change of life, expectation, and resolution’, participants significantly improved levels of job stress especially in comparison to their earlier adjustment to employment with the company.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a follow-up study are discussed.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병원 콜센터 장애인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 연구
- 해체가족 구성원의 외상 후 성장 경험 분석
- 알코올 의존자 가족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의 효과
- 부모의 정서적 학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심리운동 연구 탐색(국내 연구)
- 주의초점 유도가 특질반추 집단의 자서전적 기억의 특정성에 미치는 영향: 반추적, 주의분산적, 경험적 주의초점 유도의 효과
-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근거 자기 존중감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