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코올 의존자 가족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의 효과
이용수 74
- 영문명
- Effects of Appreciation Program for Alcoholics’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송은정(Song, Eunjeong) 이정윤(Lee, Jungyoon)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25권 제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알코올 의존자 가족을 대상으로 기존의 감사에 대한 연구와 프로그램의 내용을 참고하여 8회기 감사프로그램을 구안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감사프로그램은 Adler와 Fagley(2005)가 제안한 감사의 여덟가지 관점, 즉 소유초점, 경외, 의식, 현재순간, 자기/사회비교, 고마움, 상실/역경,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이 프로그램이 알코올 의존자 가족의 감사와 자기존중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의 알아넌(Al-Anon)에 참석 중인 알코올 의존자 가족 16명이었으며, 이 중 8명을 실험집단으로, 나머지는 무처치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2014년 4월 18일부터 6월 6일까지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감사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감사와 자기존중감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n appreciation program for family members of alcoholics. The appreciation program was constructed based on Adler and Fagley’s eight aspects of appreciation (2005): ‘Have focus’, ‘Awe’, ‘Ritual’, ‘Present Moment’, ‘Self/Social comparison’, ‘Gratitude’, ‘Loss/Adversity’ & ‘Interpersonal.’ Subjects included 16 individuals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Al-anon program in either Seoul or the Kyeonggi provinc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of eight: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of the appreciation program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both the appreciation and self-esteem scales and lower scores on the depression scal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병원 콜센터 장애인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 연구
- 해체가족 구성원의 외상 후 성장 경험 분석
- 알코올 의존자 가족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의 효과
- 부모의 정서적 학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심리운동 연구 탐색(국내 연구)
- 주의초점 유도가 특질반추 집단의 자서전적 기억의 특정성에 미치는 영향: 반추적, 주의분산적, 경험적 주의초점 유도의 효과
-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근거 자기 존중감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