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170
- 영문명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and Clients in Peer Counsel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한채민(Han, Chaemin) 김영근(Kim, Youngkeun)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25권 제1호, 85~1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내담자와 상담자의 경험이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어떠한 변화와 의미가 있었는지 그 경험들을 탐구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장애동료상담의 상담자와 내담자를 심층면담 하였고 도출된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여 장애동료상담의 질을 높이는 데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이전에 비해 자존감이 향상되었으며, 장애를 수용하는 시각의 변화와 타인과 소통하는 법을 배우고 자아실현의 욕구를 이룰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장애동료상담을 자격증화 하는 부분에 대하여는 장애인들마다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 장애동료상담은 자립에 성공적인 삶을 사는 선배 장애인의 삶을 통하여 후배 장애인들이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므로 체계적인 장애동료상담 교육과 프로그램을 통해 상담이 제공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examine the nature and meaning of peer counseling experience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Method: To provide basic data to increase the quality of peer counseling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applying Giorgi 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Participants of disability peer counseling showed an improvement in self-esteem. Counselor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d an increase in positive thoughts regarding disability acceptance. However, opinions vary amo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regarding the qualifications required to secure a consultation with a colleague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Peer counseling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o learn how to successfully adapt and live with a disability. Suggestions, such as systematic qualification procedures are discussed.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병원 콜센터 장애인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 연구
- 해체가족 구성원의 외상 후 성장 경험 분석
- 알코올 의존자 가족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의 효과
- 부모의 정서적 학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심리운동 연구 탐색(국내 연구)
- 주의초점 유도가 특질반추 집단의 자서전적 기억의 특정성에 미치는 영향: 반추적, 주의분산적, 경험적 주의초점 유도의 효과
-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근거 자기 존중감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