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3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재활심리학회
- 저자명
- 김순화(Kim, Sunhwa) 이은희(Lee, Eunhee)
- 간행물 정보
- 『재활심리연구』제25권 제1호, 35~4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창원시와 김해시에 소재한 4개 중학교 702명(남학생 283명, 여학생 419명; 1학년 243명, 2학년 239명, 3학년 220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부적응 도식 중 외로움 불신 학대, 취약성, 결함, 실패, 통제 부족 도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우울을 높이고, 자기희생 도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우울을 떨어뜨리며, 특히 외로움 불신 학대 도식은 우울을 유발하는 핵심 도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약성, 외로움 불신 학대, 결함 도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살 생각을 높이며, 특히 취약성 도식이 자살 생각을 유발하는 핵심 도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생각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 생각 예방을 위한 상담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a sample survey with 702 students (238 males, 419 females; 1st grade: 243, 2nd grade: 239, 3rd grade: 220) from four middle schools in the Changwon, Gimhae, and Gyeongnam provinces. This research resulted in a number of key findings: First, the higher loneliness/mistrust/abuse, vulnerability, defectiveness, failure, and insufficient self-control adolescents had, th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they experienced. Additionally, self-sacrifice had a negative influence on depression. Specifically, it showed that loneliness/mistrust/abuse are key predictor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Second, the higher the vulnerability, loneliness/mistrust/abuse, and defectiveness adolescents had, the higher suicidal ideation they experienced. Vulnerab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because early maladaptive schemas are significant predictors, the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in the counseling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목차
방법
결과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병원 콜센터 장애인 상담원의 직무스트레스 경험 연구
- 해체가족 구성원의 외상 후 성장 경험 분석
- 알코올 의존자 가족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의 효과
- 부모의 정서적 학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장애동료상담을 경험한 상담자와 내담자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심리운동 연구 탐색(국내 연구)
- 주의초점 유도가 특질반추 집단의 자서전적 기억의 특정성에 미치는 영향: 반추적, 주의분산적, 경험적 주의초점 유도의 효과
- 초기 부적응 도식이 청소년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근거 자기 존중감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