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이용수 22
- 영문명
- Validity Analysis of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Invention Education & an Analysis of the Adolescent Invention Education Condition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병욱(Byung-Wook Lee) 박기문(Ki-Moon Park) 손다미(Da-Mi Son) 이경표(Kyung-Pyo Lee) 이윤조(Yun-Jo Lee) 이규녀(Kyu-Nyo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3권 제2호, 199~22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발명교육과 발명교육 문화 실태를 파악하여 미래형 발명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발명교육의 중장기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발명교사를 대상으로 발명교육의 인식과 운영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존 발명교육 사업의 개선 및 신규 사업 아이디어 등을 포함한 발명교육의 중장기 발전 방안을 구안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명교육은 응답자의 94.1%가 ‘중요하다’ 이상으로 응답하였고, 입문시기는 74.1%가 초등학교를, 16.4%가 초등학교 입학 이전이라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발명교육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며, 학교급별 정규 교육과정에 교육목표와 교육체계 등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급별 발명교육의 중점 목표에 대한 타당도는 평균 4.20이상으로 나타나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급별 발명교육의 중점 목표는 초등학교 입학 이전은 ‘놀이를 통한 발명 친화력 증대’, 초등학교는 ‘발명 개념 인식’, 중학교는 ‘발명 기법 이해’, 고등학교는 ‘발명 기법 적용’, 대학교의 ‘지식재산 창출’로 설정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제시한 중장기 발전 방안의 비전 및 목표에 대한 타당도는 평균 4.00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진 과제의 3개 대과제와 11개 세부 과제 모두에서 평균 4.00이상으로 나타나, 전 과제가 타당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invention education to cultivate future talented individuals capable of inventing, by grasping present conditions of school invention education and its culture. For this, it performed a survey related to recognition on and management condition of invention education targeting invention teachers, designed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for invention education including ideas regarding improvements of typical and new invention education businesses, and verified their valid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94.1% of the respondents wrote that invention education is ‘important’, and for the entering period, 74.1% and 16.4% of them put that elementary school and preschool age are proper, respectively. Therefore, extension of invention education businesses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choolers are needed, and basic researches on education goals and systems of the formal education courses for each school level are also necessary.
Second, validities of the primary goals of invention education for each school level turned out to be more than 4.20 in average, which is valid. Thus, for the primary goals of invention education for each school level, ‘invention affinity enhancement through plays’ was set for preschool age, ‘recognition on invention concepts’ for elementary school, ‘understanding invention techniques’ for middle school, ‘application of invention techniques’ for high school, and ‘creating intellectual property’ for college.
Third, validities of visions and goals of the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 plans suggested by this study turned out to be 4.00 in average. In addition, those of three main assignments and eleven detailed assignments of promoted ones all turned out to be over 4.00 in average, which verifies that all of them are vali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 체험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다학제 팀워크를 통한 적정기술 프로젝트 사례연구
-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과목의 ‘에너지의 이용’ 단원 블로그 기반 수업 자료 개발
- ‘기술·가정’과 ‘제조 기술과 자동화’ 단원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창의성 함양 수업과정안 개발
-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 발명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유사학문과의 비교 분석 연구
-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에서 STEAM 적용 수업이 중학생의 기술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초ㆍ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 STEAM 교육의 PCK 유형 탐색을 위한 분석틀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