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에서 STEAM 적용 수업이 중학생의 기술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6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TEAM Within The Technology Subjec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On Middle School Student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상(Eun-Sang Lee) 최유현(Yu-Hyu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3권 제2호, 128~155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교과의 정보통신기술 단원에서 STEAM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의 기술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전 소재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 설계는 기존 학급 구성을 이용한 준실험설계 중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였다. 이때 실험 집단에는 STEAM 적용 수업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는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통계 방법으로 독립 표본 t-검증을 사용하였고,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교과에서 STEAM 적용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기술적 사고 성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기술교과에서 STEAM 적용 수업은 전통적 수업에 비해 기술적 사고 성향의 구성 요인 중 기술적 분석 성향, 기술적 문제 파악 및 해결 성향, 기술적 창의 및 표현 성향, 기술적 조작 성향, 기술적 계획 및 성찰 성향의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STEAM within the Technology subjec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nit on the students’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s.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s of this study, two classes from the second year of a middle school in Daejon were selected in order to comprise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f the experiment. In the experimental design,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by using the existing class organization; the STEAM applied classroom curriculum was introduc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traditional classroom curriculum was introduced to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ependent t-test was used as a statistical method. The significant level was less than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EAM applied classroom curriculum was effective on the technological thinking dispositions 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urriculum.
Second, STEAM applied classroom curriculum was effective on the technological analysis disposition, technological problem identification and resolution disposition, technological creativity and expression disposition, technological operation disposition, and technological planning and reflection disposition a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urriculum.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 체험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다학제 팀워크를 통한 적정기술 프로젝트 사례연구
-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과목의 ‘에너지의 이용’ 단원 블로그 기반 수업 자료 개발
- ‘기술·가정’과 ‘제조 기술과 자동화’ 단원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창의성 함양 수업과정안 개발
-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 발명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유사학문과의 비교 분석 연구
-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에서 STEAM 적용 수업이 중학생의 기술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초ㆍ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 STEAM 교육의 PCK 유형 탐색을 위한 분석틀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