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EAM 교육의 PCK 유형 탐색을 위한 분석틀 개발
이용수 61
- 영문명
- Development of Analysis Framework for Exploring PCK Type in STEAM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방희(Bang-Hee Kim) 김진수(Jin-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3권 제2호, 63~8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의 PCK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STEAM-PCK 분석틀을 개발하는 것이다. 2011년 도입된 STEAM 교육은 다양한 STEAM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수프로그램의 운영, 교사연구회 및 연구 시범학교의 운영 등으로 활성화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STEAM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선행연구에서 STEAM 교육의 양적 지원 체계는 어느 정도 마련이 되었으며, STEAM 교수 역량의 제고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하였다. 이는 효과적인 STEAM 교육의 정착을 위해 STEAM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PCK와 STEAM 교육의 문헌 연구를 토대로 STEAM 수업에서의 PCK 의미를 탐색하고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STEAM-PCK 분석틀을 구안하였고 전문가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완성하였다. 이 분석틀은 STEAM 교육의 목표와 수업 전문성 요소를 기반으로 STEAM 수업에서 발현되는 다양한 PCK의 유형을 분석할 수 있다. 개발된 STEAM-PCK 분석틀은 STEAM 수업의 전문성 신장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STEAM 수업의 진단과 방향성 제시를 위한 수업 컨설팅의 준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designed to develop a STEAM-PCK analysis framework so as to make an analysis of teachers’ PCK types that are manifested during the STEAM class. STEAM education, which was introduced in 2011, has been given a basis for activation, thanks to the creation of various STEAM programs, the operation of training programs, and the management of teachers’ research associations and research model schools, etc. Previous research, which looked into the perception of teachers as to STEAM education, has shown that the quantitative support system of STEAM education has, to some degree, been established and that it is necessary, at this point, to come up with ways to improve STEAM-teaching capacities. This means that we should create measures to enhance the quality of STEAM education for the effective settlement of STEAM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has explored the meanings of PCK in STEAM classe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search on PCK and STEAM education, extracting STEAM-PCK elements, creating a STEAM-PCK analysis framework and bringing it into perfection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of experts. This analysis framework can make an analysis of a diversity of PCK types expressed in STEAM classes on the basis of the purpose of STEAM education and the factors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is developed STEAM-PCK analysis framework has laid a foundation for the better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STEAM classes and may, hopefully, serve as class-consulting standards for a diagnosis of STEAM class and for presenting its directi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 체험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다학제 팀워크를 통한 적정기술 프로젝트 사례연구
-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과목의 ‘에너지의 이용’ 단원 블로그 기반 수업 자료 개발
- ‘기술·가정’과 ‘제조 기술과 자동화’ 단원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창의성 함양 수업과정안 개발
-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 발명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유사학문과의 비교 분석 연구
-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에서 STEAM 적용 수업이 중학생의 기술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초ㆍ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 STEAM 교육의 PCK 유형 탐색을 위한 분석틀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