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이용수 392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the STEAM Literacy Measurement Instrument for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유현(Yu-Hyun Choi) 노진아(Jin-Ah Noh) 임윤진(Yun-Jin Lim) 이동원(Dong-Won Lee) 이은상(Eun-Sang Lee) 노준호(Jun-Ho No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3권 제2호, 177~1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연구팀 협의를 수행하였으며, 융합인재소양 예비검사도구를 개발한 후 초·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융합인재소양의 구성요인을 분류하기 위하여 2차례의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인재소양을 구성하는 개념 요소(4C : Convergence, Creativity, Caring, Communication)를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한 대상 요소(4C)를 근거로 10개의 문항씩 총 40문항으로 구성된 예비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
셋째,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는 크게 4개영역(Convergence 5문항, Creativity 7문항, Caring 4문항, Communication 5문항)으로 구분되며 총 21문항으로 구성된다.
이 연구 결과는 학교 수준에서는 전체 집단과 비교하여 현재 학생들의 융합인재소양 수준을 파악하여 교육 설계 자료로 활용하고, 학생 개인 수준에서는 자신의 융합인재소양 수준을 진단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EAM Literacy Measurement Instrument for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survey and literature research. As for the survey, expert consultation discussion was made first.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two times. 111 students(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derived concept elements which is composed STEAM Literacy(4C : Convergence, Creativity, Caring, and Communication).
Second, With derived concept elements, we developed pre-measurement instrument which has 40 questions.
Third, We developed the STEAM Literacy Measurement Instrument for elementary, junior-high, and high school students which has 4 parts with 21 questions; Convergence 5 questions , Creativity 7 questions, Caring 4 questions, Communication 5 ques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 체험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다학제 팀워크를 통한 적정기술 프로젝트 사례연구
-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과목의 ‘에너지의 이용’ 단원 블로그 기반 수업 자료 개발
- ‘기술·가정’과 ‘제조 기술과 자동화’ 단원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창의성 함양 수업과정안 개발
-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 발명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유사학문과의 비교 분석 연구
-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에서 STEAM 적용 수업이 중학생의 기술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초ㆍ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 STEAM 교육의 PCK 유형 탐색을 위한 분석틀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