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ㆍ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55
- 영문명
- Develop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 Focused o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in Middle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민(Young-Min Kim) 김현정(Hyun-Jung Kim) 허혜연(Hye-Yeon Huh) 이창훈(Chang-Hoon Lee) 김기수(Ki-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3권 제2호, 21~4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모형을 구안하고, 구안된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모형을 적용한 중학교 건설공학분야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모형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공학, 공학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전문가 타당도 검토 및 현장 적용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최종 수정 및 보완하였다.
초ㆍ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모형을 적용하여 공학 설계 과정의 8단계로 구성된 총 3차시의 중학교 건축공학분야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공학교육 전문가 타당도 결과 Likert 5점 척도에서 평균값 4.58, CVR값 0.86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적용결과에서도 학생들의 만족도는 평균 4.0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관찰 및 면담에서도 학생들은 공학 설계 과정을 체험함으로써 공학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다는 점 등의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준과 주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We made a model of engineering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developed a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about a field of construction engineering in middle school. For this reason, we analysed preceding research about engineering, engineering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a model and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we rectified and compensated this program through field application result and validity evaluation by specialist.
We developed a program of engineering education about a field of construction engineering the model made by us. This program is composed of 3 time period of passing in eight phases of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 result of validity evaluation by specialist is comparatively high(mean value: 4.58, CVR value: 0.86).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a program developed in schools of students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average to 4.09. Even interviews and observations, by experience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students have been able to obtain positive results, such as being able to understand engineering.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ngineering education at ultra-secondary education, this program may also be used as materials for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the theme of the level variety.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중·고등학생용 융합인재소양 측정도구 개발
- 체험중심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들의 다학제 팀워크를 통한 적정기술 프로젝트 사례연구
-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과목의 ‘에너지의 이용’ 단원 블로그 기반 수업 자료 개발
- ‘기술·가정’과 ‘제조 기술과 자동화’ 단원을 위한 문제의 구조화 수준에 따른 창의성 함양 수업과정안 개발
-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
- 발명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유사학문과의 비교 분석 연구
- 기술교과 정보통신기술 단원에서 STEAM 적용 수업이 중학생의 기술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
- 초ㆍ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 청소년 발명교육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안 타당성 분석
- STEAM 교육의 PCK 유형 탐색을 위한 분석틀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