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의미 탐색
이용수 141
- 영문명
- Explor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채혜경(Chae Hye-Kyoung)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1호, 467~4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의 대인관계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면담 자료의 분석, 해석방법의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를 대상별로 범주화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유아교사의 대인관계가 교사 개인의 사적 영역의 경계를 흐트러뜨리고, 직무능력과 서로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하였다. 또한, 유아교사들은 긍정적 대인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자신의 가치관이나 생각의 방향을 전환하려고 노력하였으며, 타인을 위한 조망수용능력을 발휘하고, 사회적 지원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논의 및 결론: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유아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대인관계의 의미를 공감하고 긍정적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지원 체제를 마련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 In -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young children s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interview data.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categoriz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subjects.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istracted the boundaries of the personal area of the teache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job abil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mutually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In addition, early childhood teachers tried to change their values or thinking, to have a perspective taking ability for others, and to use the social support network actively in order to form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clusion: It was emphasized that a support system should be provided to help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they perceive and to help them form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의미 탐색
- 방학분산제 실시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미래사회의 유아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 놀이로 융화되어가기
-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
-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친구관계 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 들뢰즈의 철학을 통한 프로젝트 다시 읽기: 욕망과 선의 ‘배치’ 분석
- 유아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참여 경험과 기대
-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의대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상업실내공간 키즈카페 경험을 통해 본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실존적 육아의 의미
-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방안
- 학교 내 민주적 협의문화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 탐색
- 긍정심리학 기반 성격강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경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 능력과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미래 - 국내·외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에 근거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급변하는 사회와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논의 : 교육생태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 및 보육컨설팅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04년~2018년을 중심으로-
-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 개발 및 적용효과 분석
-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소규모 지방사립대인 K대학교를 중심으로
-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한 ICF Core Set 개발: 현장전문가 면담을 통한 항목 추출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