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들뢰즈의 철학을 통한 프로젝트 다시 읽기: 욕망과 선의 ‘배치’ 분석
이용수 614
- 영문명
- Disrupting a Project Data Through the Lens of Deleuzian Philosophy: Arrangements of Desires and Lin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이진희(Lee Jin-Hee) 신은미(Shin Eun-Mi)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1호, 399~42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유아들이 삶 속 경험과의 마주침을 통해 발현시킨 관심주제를 비교적 긴 시간 동안 깊이 있게 탐구하는 프로젝트 기반 교육은 새로운 교육개혁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였으나 어느새 경직된 표준화와 모방적 재생산으로 점차 왜곡, 변질되어 왔다는 비판 속에서 프로젝트가 가지는 생명력과 의미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요구된다. 연구방법: 연구자들은 후기구조주의적 연구방법론에서 주목하는 자료 수행성을 내포하고 있는 프로젝트 교사저널을 연구자료로 삼아 의미 있는 배움을 위한 프로젝트의 생명력을 다시 읽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들뢰즈의 철학적 사유를 통해 행위주체로서의 어린이들과 교사의 욕망이 어떻게 배치되어 새로운 문제를 구성하고 전개해 가는지, 그리고 프로젝트의 과정에서 경직된 선, 유연한 선, 탈주선이 서로 얽히는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탐구하는 역동적인 궤도를 조명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 어린이집의 만 4-5세 혼합연령학급 어린이들이 실행했던 ‘버스번호의 비밀’ 프로젝트의 배치를 다시 읽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현과 모방의 논리에 의해 미리 계획된 프로그램의 실행이 아니라, 자신이 살아가는 세상을 이해하고 참여하고자 하는 어린이들의 욕망 생성과 복잡하게 작동하는 디아그램을 내포한 다양체로서 프로젝트를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originated from deepening concerns over contemporary pedagogical approaches to the project-based learning, which started from new reformative ideas to engage children’s minds with meaningful encounters within their life experiences through an in-depth inquiry over a relatively long period of time, but have been distorted and deteriorated due to gradual standardization and stereotypical reproduction. Method: In search of vital meaning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through critical reflection, the researchers focused on performance of project journal data compil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post-structural research methodologies. Results: Through the lens of Deleuzian philosophy, the trajectories of the young children’s explor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ir world are illuminated by paying attention to how the dynamic desires of the agentic children and their teachers were intertwined to arrange and pursue new questions and how segmental molar lines, molecular crack lines, and lines of flight are entangled in the course of a project. The ‘Mystery of the Bus Number’ project that was conducted and documented in a classroom of 4- and 5-year old olds in a child care center was reanalyzed. Discussion & Conclusion: Based on our re-readings of the project data, we suggest that project-based learning should not be constrained by the pre-determined series of activities based on the rigid logic of representation, but operate as multiplicities of dynamic and complex diagrams of young children’s desires to understand and participate in their worl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프로젝트에서의 욕망: 문제구성으로서 세상에 대한 이해와 참여
Ⅳ. 프로젝트에서 선들의 배치: 욕망의 관리 방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의미 탐색
- 방학분산제 실시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미래사회의 유아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 놀이로 융화되어가기
-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
-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친구관계 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 들뢰즈의 철학을 통한 프로젝트 다시 읽기: 욕망과 선의 ‘배치’ 분석
- 유아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참여 경험과 기대
-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의대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상업실내공간 키즈카페 경험을 통해 본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실존적 육아의 의미
-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방안
- 학교 내 민주적 협의문화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 탐색
- 긍정심리학 기반 성격강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경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 능력과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미래 - 국내·외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에 근거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급변하는 사회와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논의 : 교육생태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 및 보육컨설팅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04년~2018년을 중심으로-
-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 개발 및 적용효과 분석
-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소규모 지방사립대인 K대학교를 중심으로
-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한 ICF Core Set 개발: 현장전문가 면담을 통한 항목 추출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