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참여 경험과 기대

이용수  76

영문명
The Participant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견주연(Kyun Ju-Youn)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1호, 17~4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참여 경험과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이들의 기대 등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참여한 K대 예비유아교사 2학년 3명, 3학년 6명, 총 9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한 면담이 주 분석 자료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참여에 대한 부정적 경험은 1) ‘자유’의 의미에 대한 혼돈스러움, 2) 과도한 수업준비와 수행에 대한 요구로 인한 힘겨움, 3) 결과․성과 중심의 수업 요구로 인한 심리적 부담감, 4) 중학생에 대한 통제의 어려움 느낌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참여에 대한 긍정적 경험은 1) 자유학기제 참여를 통한 만족감 및 성취감, 2) ‘선생님’이라고 불릴 때의 희열감, 3) 중학교 시절 회상 및 추억의 재발견을 통한 기쁨 느낌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기대는 1) 교육현장에서의 수업 운영에 대한 기대, 2) 자원봉사자로서의 자유학기제 운영 체계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 및 추후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rticipant experiences and expectations of pre-service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 students in grade 2 and 6 students in grade 3, a total of 9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K university. And a set of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 was the main source used in research analysis. Results: First, negative experience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participation in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were as follows: 1) confusion about the meaning of ‘freedom’, 2) difficulties due to excessive class preparation and performance, 3) psychological burden due to results and performance-oriented instructional demands, and 4) difficulties in controlling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participation in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were as follows: 1)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2) joy when called ‘teacher’, 3) joy through the rediscovery of memories and memories i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expecta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operation of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were as follows: 1) expectations of class operation in educational field, 2) expectations about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operating system as volunteer.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견주연(Kyun Ju-Youn). (2019).예비유아교사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참여 경험과 기대. 교육혁신연구, 29 (1), 17-40

MLA

견주연(Kyun Ju-Youn). "예비유아교사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참여 경험과 기대." 교육혁신연구, 29.1(2019): 1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