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내 민주적 협의문화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 탐색

이용수  545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mocratic Consultative Culture in School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박정민(Park Jeoung-Min) 김석우(Kim Suk-Woo) 김경수(Kim Kyung-Soo)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1호, 423~44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교 민주화의 첫걸음인 학교 내 민주적 협의문화 실태를 진단하여 민주적 협의문화 발전의 저해 요인 탐색을 통해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초‧중‧고등학교 소속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세부 접근 방법은 민주적 가치체계의 형성과 공유, 학교 내 수평적 관계 맺기와 민주적 소통, 학교 내 민주적 의사결정 체제 구축, 학교 내 민주적 협의문화의 지속 운영, 교육청의 민주적 협의문화 지원 등의 5개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내 민주적 협의문화의 저해요인으로는, 첫째, 상급기관의 지시업무 이행과 관리자의 경영철학을 중심으로 학교교육의 기본방향이 설정되는 점이다. 둘째, 동학년모임과 동교과모임 뿐만 아니라 교사 다모임 등 소그룹의 협의 시 업무전달 중심의 분위기이다. 셋째, 소그룹 중심의 교사협의체 활성화를 위한 공간과 시간 확보, 그리고 협의회 운영규칙 제정 등이 미흡한 점이다. 넷째, 관리자와 부장교사의 민주적 리더십과 역할에 대한 불명확한 인식과 수직적 학교문화의 관행이다. 다섯째, 교육청의 실적보고 중심의 업무지시이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내 교원의 민주적 협의문화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esent the way to improve Democratic Consultative Culture in School by diagnosing it. Method: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on surveys of teacher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also implemented to deduce improvement for Democratic Consultative Culture in School. The focus of the five approaches was the formation and sharing of democratic value system, the formation of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a democratic communication in schools, the establishment a democratic decision-making system in schools, the continuing operation of Democratic Consultative Culture in schools, the support of the Office of Education s democratic consultative culture. Results: As a hindrance factor of Democratic Consultative Culture in School, first, the basic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was set with the directives of higher-level institutions and the management philosophy of managers. Second, the meeting of small groups was centered on the delivery of work. Third, it was insufficient space and time, operating rules for the revitalization of a teachers council. Fourth, it was the vertical school culture and obscure perception of the democratic leadership and role of managers. Fifth, the task was centered on reporting performance of Education Office. Conclusion: In the analysis results, we suggested the improvement of Democratic Consultative Culture of teachers in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민(Park Jeoung-Min),김석우(Kim Suk-Woo),김경수(Kim Kyung-Soo). (2019).학교 내 민주적 협의문화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29 (1), 423-441

MLA

박정민(Park Jeoung-Min),김석우(Kim Suk-Woo),김경수(Kim Kyung-Soo). "학교 내 민주적 협의문화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29.1(2019): 423-4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