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 개발 및 적용효과 분석
이용수 93
- 영문명
- Development of Democratic School Governance Model Based on Functional Applied Analysis and Its Application Effect Analysi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저자명
- 박동환(Park Dong-Hwan) 조현희(Cho Hyun-Hee) 이재신(Lee Jea-Shin)
- 간행물 정보
-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1호, 183~20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에 적용 가능한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 문헌 고찰을 토대로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의 구성원리와 내용을 추출하고 전문가들의 내용 타당도 검사를 통하여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을 2017년 3월부터 9월까지 초등학생 1,195명(충청북도 및 인천광역시 소재 4개 초등학교의 5학년 12개학급, 6학년 12개학급)과 교사 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문헌 고찰을 토대로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을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한 후,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 적용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둘째,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을 단위학교에 적용한 결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그리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및 학교폭력예방 효과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은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서 학교교육의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maja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emocratic school governance model based on functional applied analysis, which is appliable to unit school. Another one was to examine its application effect. Method: Firs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 extracted composition principles and contents of democratic school governance model, and developed the model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 conducted by experts. Second, the democratic school governance model based on functional applied analysis was applied to 1,195 elementary students and 68 teachers from March to September 2017. Results: The study results were as below; First, the study developed a democratic school governance model based on functional applied analysis, which is applicable to unit school. Second, the democratic school governance model based on functional applied analysis was applied to unit school. As a result, the teacher s job satisfaction and student s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tudents school violence prevention effect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democratic school governance model based on functional applied analysis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o prevent school violence, and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goal achievement of school education by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 개발
Ⅲ.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의 적용 및 효과 분석
Ⅳ. 연구 결과
Ⅴ.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의미 탐색
- 방학분산제 실시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미래사회의 유아수학교육 방향에 대한 고찰 : 놀이로 융화되어가기
-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 연구
- 부모의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과 친구관계 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 들뢰즈의 철학을 통한 프로젝트 다시 읽기: 욕망과 선의 ‘배치’ 분석
- 유아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중학교 자유학기제 참여 경험과 기대
-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이 의대생의 세계시민의식과 지속가능발전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상업실내공간 키즈카페 경험을 통해 본 영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실존적 육아의 의미
- 깊은 학습(LiD)을 활용한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방안
- 학교 내 민주적 협의문화 발전을 위한 개선 방안 탐색
- 긍정심리학 기반 성격강점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경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자기결정 능력과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미래 - 국내·외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경험에 근거한 교원양성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급변하는 사회와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논의 : 교육생태계적 관점을 중심으로
-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유아교육 및 보육컨설팅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2004년~2018년을 중심으로-
- 기능적 응용분석 기반의 민주적 학교 거버넌스 모델 개발 및 적용효과 분석
-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영향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소규모 지방사립대인 K대학교를 중심으로
- 중도 지적장애인의 다면적 평가를 위한 ICF Core Set 개발: 현장전문가 면담을 통한 항목 추출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