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782

영문명
Research Subject Trend Analysis on Educational Innovation with Network Text Analysi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영환(Kim YoungHwan) 이승민(Lee SeungMin) 배혜림(Bae HyeLim) 손미(Shon Mi)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9권 제1호, 91~1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부터 2018년까지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들의 변화양상을 정부별로 분석하여 향후 교육혁신관련 연구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RISS에서 ‘교육혁신’ 만을 키워드로 하여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출간된 논문들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학위논문 66편과 등재후보 이상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 245편을 합한 총 312편을 선정하였다. 추출 과정에서 본 연구의 목적상 혁신학교에 관련된 논문들은 제외되었다. 이 논문들에서 편당 5개의 주제어를 4인의 연구자 합의하에 추출하여 총 1,560개의 키워드를 확보하고 이들 키워드를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정부별 빈도수 상위 주제어와 이들 간의 중앙성 및 관계를 파악하였고 그래프로 도식화하였다. 연구결과: 지난 4대 정부동안에 빈도수가 높았던 주제어들은 ‘교육혁신’, ‘교사’, ‘교육과정’, ‘대학교육’, ‘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역대 정부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난 ‘교육혁신’ 외에, 노무현 정부에서는 ‘교사’와 ‘대학교육’이, 이명박 정부에서는 ‘대학교육’과 ‘교육과정’이, 박근혜 정부에서는 ‘교육과정’과 ‘교사’가 그리고 문재인 정부에서는 ‘4차산업혁명’과 ‘교사’였다. 주제어들은 크게 여섯 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룹1은 ‘교육혁신’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그룹2는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그룹3은 ‘교사’와 ‘학습자’를 중심으로, 그룹4는 ‘4차산업혁명’을 중심으로, 그룹5는 ‘인적자원개발’과 ‘지역혁신’을 중심으로, 그룹6은 ‘교육개혁’을 중심으로 군집화 되었다. 최근 정부로 오면서 키워드들이 종래의 전통적인 혁신 키워드들 보다는 ‘4차산업혁명’, ‘거꾸로학습(교실)’, ‘융합’과 같은 사회적 이슈들이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4개 정부에 따라 교육혁신 관련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었고, 이에 제시된 키워드들이 점진적인 변화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노무현과 박근혜 정부에서는 교육혁신 관련 키워드들이 많았으나 이명박과 문재인 정부에서는 교육혁신관련 보다는 일반교육관련 키워드들이 더 많이 나타나는 지그재그 현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전통적인 ICT교수매체와 관련된 주제어들은 감소하고 있지만, 포괄적인 ICT와 관련한 키워드들(예, 4차산업혁명, 거꾸로학습(교실), 기술수용모형 등)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향후 더 다양한 연구물들과 질적인 방법을 통한 더 많은 교육혁신 관련 연구들이 요망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the educational innovation gathered from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master’s and doctoral degree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04 to 2018.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312 articles and dissertations were collected from RISS utilizing the key word educational innovation . A total of 1,560 key words were selected from the articles to perform the network text analysis, especially to acquire each node s frequency, co-occurrence and centrality degree. Results: The four most frequently appeared key words were educational innovation , teacher , curriculum , and instruction . The key word which appeared with the most frequency across all government administrations that were installed from 2004 to 2018 was educational innovation’; and the most frequent key words by coinciding with each administration are as follows: 1) Rho Moo-Hyun: teacher and university 2) Lee Myoung-Bak: university and curriculum , 3) Park Geun-Hye: curriculum and teachers , 4) Moon Jae-In: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eacher . Extracted key words were categorized into six groups: group one - educational innovation and curriculum , group two - university education , group three - teachers and learners , group four - 4th industrial revolution , group five HRD and regional innovation and group six - educational innovation . Conclusion: While the number of researches on educational innovation increased gradually from 2004, more research trend analyse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better conceptualizations of educational innovation , educational reform and innovation schools .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환(Kim YoungHwan),이승민(Lee SeungMin),배혜림(Bae HyeLim),손미(Shon Mi). (2019).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9 (1), 91-116

MLA

김영환(Kim YoungHwan),이승민(Lee SeungMin),배혜림(Bae HyeLim),손미(Shon Mi). "교육혁신관련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9.1(2019): 91-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