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이용수 180
- 영문명
- The Effect of Handicraft Activity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Ego-resilience of Disabled Child’s Mother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제갈선아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59호, 253~2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로써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실험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A시 장애아동 어
린이집 어머니 70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탄력성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신청한 어머니
16명을 선정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에 8명씩 배치하였다. 이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
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각 요인별 실험
전과 실험 후의 값을 비교하여 자아탄력성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해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에서 나타나는
회기별 집단구성원의 자아탄력성 변화과정에 대한 자료 분석으로 대인관계, 자기조절, 긍정성
등의 자아탄력성의 3가지 구성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첫째,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있
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활동과정에서 나타나
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의 변화는 작품을 통해 정서를 표출하여 긍정적인 정서를
회복한 것으로써 이는 긍정적인 언어표현과 작품표현의 증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group-art-therapy
program with handicraft activities on the ego-resilience of disabled children’s
moth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objects were 70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collected from
daycare centers. After the Korean Ego Resilience Scale Test, 16 participants were
chosen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8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ach groups.
The Welcoxon test, non-parametric statistical 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n the ego-resilience. The test scores of before and after
experiment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lso, the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regulation
skills control and self positivity was conducted and the change of participants
were studied during the each sessions.
As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raft
activities is well effective to improve ego-resilience of mother with disabled
children.
Moreover, the change of ego-resilience of the mother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increase of positive language and expression in works, restoring
positive emotion by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in the process of activit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상과 미술중점 예술놀이를 통한 교사 인성교육 프로젝트 연구
- 미술영재 진로교육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
-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실행 방안 탐색
- 헬스 리터러시 증진을 위한 공동체 중심 미술교육: 미술·보건 통합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위한 공예활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마을 벽화와 주민문화와의 융합적 소통 가능성 고찰
- 공감적 상상력을 통한 예술가 생애사 활용 방안 연구: 성인미술교육중심으로
- 3On’s 학습원칙에 의거한 프로젝트기반 예술직업탐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자유학기제 진로탐구 중심으로
- 미술 감상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격과 미술 경험을 중심으로
- 미술 관련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예술 고등학교 1학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